"최근 원자재 급등세 진정에 인플레 정점 기대감"


홈 > 로컬뉴스 > 로컬뉴스
로컬뉴스

"최근 원자재 급등세 진정에 인플레 정점 기대감"

웹마스터

가격 상승세 2분기 들어 꺾여

경제전문가들 희망론 제기


최근 세계적 인플레이션의 주요원인으로 꼽히는 원자재가격 상승세가 2분기 들어 꺾이자 인플레이션이 정점을 찍었을 수 있다는 희망론이 제기되고 있다.


4일 월스트리트저널(WSJ)·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미국 천연가스 가격은 지난달 초 한때 1분기 말 대비 60% 넘게 올랐지만, 이후 하락세로 돌아서 2분기 말에는 1분기 말 대비 3.9% 하락했다.

8월물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도 1분기 말 배럴당 95.08달러에서 지난달 초 120달러까지 치솟았지만, 지난달 30일 종가는 105.76달러로 상승세가 다소 진정됐다.


또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여파로 치솟았던 밀과 옥수수, 대두 등 곡물가격은 1분기 말보다 2분기 말에 내려왔고, 면화가격은 5월 초 최고가 대비 30%가량 가격이 내려가기도 했다. 2분기 말 구리와 목재가격은 각각 1분기 말 대비 22%, 31% 하락했다.


연초 원자재 가격 상승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세계적 공급망 혼란, 지난해 기상여건 악화에 따른 곡물수확량 감소 등의 영향을 받았다. 아직 공급망혼란의 여파가 있지만, 최근 이러한 가격상승 압력이 완화하고 있다는 게 WSJ 설명이다.


연방에너지정보국(EIA)에 따르면 지난달 18∼24일 일주일간 미국의 일평균 원유 생산량은 1210만 배럴이었는데, 이는 코로나19 영향이 본격화한 2020년 4월 이후 최대치였다.


또 대출금리 인상으로 신규주택 시장이 진정되면서 목재 등 건설자재 가격에 낀 거품이 빠졌고, 미국과 유럽 등의 기상여건 개선으로 곡물 수확량 감소분을 보충할 가능성이 커졌다는 것이다.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