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3일] 엔비디아·아마존 강세 불구 혼조 마감
다우존스지수 0.48% 상승
11월의 첫 주간 거래일인 3일 뉴욕증시 3대 지수는 혼조로 마감했다. 엔비디아와 아마존 강세로 주가를 끌어 올렸지만 대부분 산업 종목이 하락하면서 지수별로 희비가 갈렸다.
이날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지수는 전장보다 226.19포인트(0.48%) 내린 4만7336.68에 거래를 마감했다. S&P500지수는 11.77포인트(0.17%) 오른 6851.97, 나스닥지수는 109.77포인트(0.46%) 상승한 2만3834.72에 장을 마쳤다.
엔비디아는 마이크로소프트(MS) 덕에 중동으로 수출할 수 있는 길이 열리며 시가총액 5조달러 선을 되찾았다. 마이크로소프트(MS)는 이날 아랍에미리트(UAE)에 2029년까지 79억달러 이상을 인공지능(AI) 관련 분야에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MS는 지난 9월 AI 연산에 필요한 그래픽처리장치(GPU)를 UAE에 수출할 수 있는 허가를 지난 9월 연방정부로부터 획득한 바 있다. 이 허가에 따라 MS는 아랍에미리트(UAE)에 79억달러 이상을 AI 관련 분야에 투자하기로 했고, 엔비디아의 칩 'A100' 6만400개 용량에 해당하는 GPU를 수출하기로 했다.
이 같은 소식에 엔비디아는 이날 2.17% 상승했다. 중국으로 GPU 수출이 통제되고 있는 상황에서 중동 수출길은 엔비디아에는 확실한 '단비'가 됐다.
아마존은 오픈AI와의 대규모 계약이 주가를 부양했다. MS 제품 의무사용 계약이 끝난 오픈AI는 아마존웹서비스(AWS)와 7년간 380억달러 규모의 신규 클라우드 사용 계약을 체결했다.
월가에선 뚜렷한 수익모델이 없는 오픈AI가 계약에 따른 자금을 어떻게 조달할지 의문을 제기하고 있으나 투자자들은 일단 대규모 계약 소식을 투자재료로 받아들였다. 아마존 또한 오픈AI와의 대규모 계약으로 주가가 4.02% 상승했다.
한편, AI 테마 관련주를 제외한 주식은 대체로 이날 침체됐다. S&P500지수에 속한 기업 중 400개 이상의 종목이 하락했다. AI 위주의 일부 기술주만 매수세가 유지되는 상황이다.
킴벌리-클라크가 타이레놀로 유명한 켄뷰를 400억달러에 인수하기로 하면서 킴벌리-클라크 주가는 14% 넘게 급락했고 켄뷰 주가는 약 12% 뛰었다. 데이터센터 기업 아이렌은 마이크로소프트와 97억달러 규모의 클라우드 계약을 체결했다는 소식에 11% 이상 올랐다.
김문호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