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벨 생리의학상에 브렁코·램즈델·사카구치


홈 > 로컬뉴스 > 로컬뉴스
로컬뉴스

노벨 생리의학상에 브렁코·램즈델·사카구치

웹마스터

올해 노벨생리의학상을 수상한 (왼쪽부터) 메리 브렁코, 프레드 램즈델, 시몬 사카구치. /AP


'면역체계 경비병' 역할

조절 T세포 발견 공로


2025년 노벨생리의학상 공동 수상자로 사카구치 시몬(74·일본)과 메리 E. 브렁코(64)·프레드 램즈델(65·이상 미국)이 선정됐다.

이들은 다년간 면역 연구에서 세계적으로 명성을 쌓아왔다.

3인은 소속 기관과 국적은 다르지만 상대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후속 연구를 발전시킴으로써 궁극적으로 인간 면역체계의 경비병 역할을 하는 '조절 T세포'의 비밀을 밝혀내 인류의 질병 극복에 기여했다.

사카구치가 1995년 자가면역질환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는 면역세포인 조절 T세포의 존재를 규명하자 2001년 브렁코와 램즈델은 그 세포를 제어하는 유전자인 FOXP3를 발견했다. 그로부터 2년 뒤에는 사카구치가 본인의 연구와 브렁코·램즈델의 연구를 연계해 FOXP3가 조절 T세포의 분화와 기능을 통제한다는 결정적 연결고리를 제시했다. 

일본의 명문 오사카대 명예교수인 사카구치는 교토대 의학부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그는 교토대 교수와 재생의과학연구소 소장을 거쳐 오사카대에서 연구 활동을 이어왔다. 공동수상자인 브렁코는 1991년 명문 프린스턴대에서 분자생물학 박사학위를 받은 뒤 주로 서부의 워싱턴주에서 활동하며 셀텍 R&D, 시애틀 시스템생물학연구소 등에서 재직했다. 2001년 FOXP3를 발견한 네이처제네틱스 논문의 공저자였을 뿐 아니라 뼈 형성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는 단백질 스클레로스틴 관련 연구 성과를 담은 미국 인간유전학저널 논문(2001년)의 공저자로 주목받았다. 

또 한명의 공동수상자인 램즈델은 1983년 UC샌디에이고에서 생물학 전공으로 학부를 졸업한 뒤 1987년 UCLA에서 면역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