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으로 명문대 길들이기?…백악관, ‘정책 협약’ 압박


홈 > 로컬뉴스 > 로컬뉴스
로컬뉴스

돈으로 명문대 길들이기?…백악관, ‘정책 협약’ 압박

웹마스터

필라델피아 도심에 위치한 유펜 캠퍼스. /University of Pennslyvania


9개 명문대학에 서명 요구

유펜, 브라운, 다트머스 등


백악관이 미국 내 주요 대학 9곳에 트럼프 정부의 정치적 우선순위에 동의할 경우 더 유리한 연방자금 지원을 제공하겠다는 제안을 한 것으로 드러났다.

AP통신에 따르면 최근 해당 대학들에 전달된 문서에는 대학들이 입학 정책, 여성 스포츠, 표현의 자유, 학생 징계, 학자금 부담 경감 등 다양한 사안에서 백악관의 정책 방향에 부합하도록 요구하는 내용이 담겨 있다.

'고등교육에서의 학문 우수성 협약(Compact for Academic Excellence in Higher Education)'이라는 제목의 이 10쪽 분량 문서에는 정부가 규정한 성별 개념을 화장실, 탈의실, 여성 스포츠팀에 적용할 것을 대학들에 요청하고 있다. 또한 입학사정에서 인종, 성별, 기타 다양한 인구통계학적 요소를 고려하지 말고, SAT나 ACT 등 표준시험을 의무화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협약을 수락할 경우 대학들은 “다양한 긍정적인 혜택”을 얻게 되며 여기에는 “의미 있는 수준의 연방 보조금”과 “가능한 경우 간접비용(오버헤드) 증가” 등이 포함된다고 전했다. 해당 제안은 대학 측에 전달된 서한과 함께 발송됐으며, 이는 백악관이 미국 대학 내 민권침해 의혹에 대한 조사 작업을 계속하면서도 사전에 협력적 관계를 모색하려는 시도의 일환으로 보인다.

이번 제안은 밴더빌트대, 유펜, 다트머스 칼리지, USC, MIT, 텍사스대, 애리조나대, 브라운대, 버지니아대 등 유수의 사립·공립 명문대에 전달됐다. 백악관이 이 9개 대학을 선정한 기준은 공개되지 않았다.

서한에 따르면 이들 대학은 ‘초기 서명자’로 간주되며, 협약의 최종 문구 확정 전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도록 초청받았다. 결정 기한은 11월 21일까지로 명시돼 있다. 이번 제안은 트럼프 정부가 단순한 제재를 넘어 보상 방식까지 도입하며, 대학들에 자신의 정치적 요구사항을 수용하도록 유도하는 새로운 전략으로 평가된다.

이번 제안의 주요 내용은 과거 트럼프 정부가 하버드대, 컬럼비아대 등 진보 성향으로 지목된 대학들을 대상으로 수십억달러의 연방 자금을 삭감하며 내세웠던 요구사항과 유사하다. 그러나 하버드대에 대한 자금 삭감 조치는 지난달 연방법원에서 정부가 권한을 넘어섰다는 판결로 무효화된 바 있다.

현재 여러 대학들은 협약 내용을 검토중이라며 공식적인 언급을 피하고 있다. 버지니아 대는 해당 명단에 포함된 이유에 대한 설명은 없었다고 밝혔다. 

텍사스대 시스템 이사회 의장 케빈 엘티페는 성명을 통해 “오스틴 캠퍼스가 협약의 일부로 선정된 것을 영광으로 생각한다”며 “이번 기회와 잠재적인 재정적 이점을 환영한다. 트럼프 정부와 협력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구성훈 기자 la@chosundaily.com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