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 품으로"…석방 근로자 전세기 인천으로 떠나
석방된 한국인 근로자 태운 전세기 이륙.(위) 현대차-LG엔솔 배터리공장 건설 현장 직원들이 애틀랜타공항으로 향하기 위해 11일 새벽 조지아주 포크스턴의 이민세관단속국(ICE) 구금시설을 나서며 버스에 탑승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민당국 구금·체포 일주일만
이민당국에 의해 체포·구금됐다 풀려난 한국인 316명이 탑승한 전세기가 동부시간 11일 오전 11시38분(LA시간 8시38분)께 조지아주 하츠필드-잭슨 애틀랜타 국제공항을 출발해 인천으로 향했다.
지난 4일 조지아주 엘러벨의 현대차그룹-LG에너지솔루션 합작 배터리공장 건설현장에서 이민 당국의 불법 체류 및 고용 단속으로 체포돼 포크스턴 구금시설 등에 억류된 지 7일만이다.
이들은 한국시간 12일 오후 3시(LA시간 11일 오후 11시)께 인천공항에 도착할 전망이다.
앞서 이날 동부시간 오전 2시18분께 조지아주 포크스턴 구금시설에서 풀려난 이들은 우리 기업 측이 마련한 일반 버스 8대에 나눠 타고 약 6시간을 달려 430㎞ 떨어진 애틀랜타공항으로 이동했다. 스튜어트 구금시설에서 석방된 여성 근로자들이 탄 버스 1대도 이에 앞서 공항에 도착했다.
이들을 태운 버스는 애틀랜타공항 화물청사로 이동, 전날부터 대기 중이던 대한항공 전세기 부근에 정차했다.
미국 측과 사전에 약속한 대로 이들은 구금시설을 나서 수갑 등 신체적 구속 없이 평상복 차림으로 버스를 타고 이동했다. 이날 전세기 이륙은 당초 예정된 시각(동부시간 정오께)보다 일찍 이뤄졌다.
이번에 구금된 한국인은 총 317명(남성 307명·여성 10명)으로 이 중 1명은 '자진 출국' 대신 잔류를 선택했다. 여기에 외국 국적자 14명(중국 10명·일본 3명·인도네시아 1명)을 포함해 330명이 한국으로 돌아갈 예정이다.
일반 탑승객과 달리 이들은 화물청사에서 별도의 신원 확인과 탑승권 교부 등 출국 절차를 밟은 뒤 전세기에 탑승했다.
사태 수습을 위해 미국을 찾은 박윤주 외교부 1차관과 김동명 LG에너지솔루션 대표 등도 전세기에 동승했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는 한국인 구금자들이 귀국후 미국 재입국 등에서 불이익이 없도록 하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는 것이 한국 측 설명이나 미국 법규상 자진출국시 재입국 관련 제약 문제가 애매한 측면이 있어 향후 실제 불이익이 없는지 지켜봐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한미는 이번 일을 계기로 대미 투자기업의 전문 인력들을 위한 미국 비자를 새롭게 설계하는 논의에 착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