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버드대, 트럼프 정부에 5억불 지급 고려


홈 > 로컬뉴스 > 로컬뉴스
로컬뉴스

하버드대, 트럼프 정부에 5억불 지급 고려

웹마스터

시민들이 하버드대에 대한 트럼프 행정부의 연방 자금 동결에 항의하는 시위를 벌이고 있다. /AP 


다양성 등 문제삼아 재정지원 봉쇄

컬럼비아 2억불 지불, 트럼프 '승'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와 대립각을 세워온 미국 아이비리그 명문대들이 백악관에 수 억달러대 합의금을 지불하기로 했다. 트럼프가 반 유대주와 다양성(DEI) 정책을 문제 삼으며 재정 지원을 틀어 막자 대학들이 결국 꼬리를 내린 것이다.


28일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하버드대는 최근 트럼프 행정부와의 분쟁을 마무리하기 위해 최대 5억달러의 합의금을 내는 방안을 협의 중이다. 트럼프는 지난 1월 취임 직후부터 하버드 등 아이비리그 대학들과 ‘전면전’을 선언했다. 


지난 4월엔 이들 대학이 인종·피부색·출신 국가를 이유로 한 차별을 금지한 연방 민권법을 위반했다며, 모든 재정 지원과 면세 지위를 박탈하겠다고 압박했다. 이들 대학이 친 팔레스타인 시위에 미온적으로 대응함으로써 유대인·이스라엘인에 대한 괴롭힘을 방관했다는 논리였다. 하버드대가 “헌법에 위배되는 표현의 자유 침해”라고 반발하자, 백악관은 실제 22억달러 규모의 연방 보조금 지급을 중단했다. 지난 5월엔 하버드대가 유학생을 받을 자격을 박탈하기도 했다.


하버드대는 트럼프 행정부를 상대로 소송을 진행 중이지만, 내부에선 이미 몇 달 전부터 승소 여부와 관계없이 트럼프 임기 중 더 큰 피해를 막기 위해선 합의가 필요하다는 판단을 내렸다고 NYT는 전했다. 연방 민권법에 따르면, 이를 위반한 학교는 정부 보조금을 받을 수 없고, 만약 보조금을 복구하려면 합의금 지불과 정책 변경을 포함하는 ‘자발적 시정 합의’를 해야 한다.


앞서 컬럼비아대는 지난 23일 2억달러 합의금을 지급하며 정부와 협상을 타결했다. 이에 따라 동결됐던 4억달러 규모의 연방 연구 자금이 복원됐다. 트럼프 행정부는 컬럼비아대와의 협상을 ‘성공 모델’로 내세우며 다른 대학들의 협상에도 적용하려 하고 있다.


대학들이 트럼프의 압박에 결국 잇따라 굴복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컬럼비아대는 특히 정부와 대학이 공동으로 외부 감시인을 지명하는 데 합의했다. 외부감시인은 입학과 교수 채용 과정에서 합의 이행 여부를 감독한다. 다만, 하버드대는 대학의 학문적 자율성을 침해할 수 있는 외부 감시인만큼은 ‘레드라인(넘을 수 없는 선)’으로 보고, 합의에 포함시키기 어렵다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김지원 기자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