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시 '게임스톱 사태' 재현되나

고프로·크리스피크림 급등락
증시에서 개인투자자 자금이 '밈 주식'(온라인에서 입소문을 타고 개인투자자들이 몰리는 주식)에 쏠리면서 2021년 화제가 됐던 이른바 '게임스톱 사태'가 재현되는 양상이다.
23일 뉴욕증시에서 휴대용 카메라 장비업체 고프로는 전장 대비 12.41% 오른 1.54달러에 마감했다. 고프로는 지난 21일만 해도 주가 1달러 미만의 '동전주'였는데 이날 장중 2.37달러까지 오르며 장중 상승률이 전장 대비 73%에 달하기도 했다. 그러나 개장 초반 상승 탄력을 유지하지 못한 채 상승 폭을 반납하며 주가가 널뛰기 행보를 보였다.
도넛 프랜차이즈 크리스피크림은 개장 초 전장 대비 40% 가까이 올랐다가 역시 상승세를 유지하지 못한 채 결국 전장 대비 4.6% 오른 4.32달러에 마감했다.
두 기업 모두 특별한 호재 발표가 없었다는 점에서 월가 기관투자자의 공매도에 맞서 개인투자자들이 이들 종목을 집중적으로 사들이기 시작한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실제로 개인투자자들이 자주 찾는 온라인 사이트 레딧의 주식 토론방 '월스트리트베츠'에선 고프로와 크리스피크림을 언급하는 글들이 다수 게재됐다.
전날에는 유명 백화점 체인 콜스(Kohl's)가 개인투자자들의 타겟이 돼 38% 급등 마감했다. 콜스는 이날 14% 급락 마감, 전형적인 '밈 주식'의 주가 움직임을 보였다.
월가 안팎에선 2021년 뉴욕증시를 뜨겁게 달궜던 이른바 게임스톱 사태가 재현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게임스톱 사태는 2021년 초 레딧의 월스트리트베츠 토론방을 중심으로 뭉친 개인투자자들이 월가 기관투자자의 공매도에 맞서 게임스톱 주식을 집중적으로 사들이면서 시작됐다.
이 과정에서 게임스톱 주가가 폭등하면서 게임스톱을 공매도했던 일부 헤지펀드는 큰 손실을 보고 펀드를 청산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