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17일] 관세불안 잠재운 소비지표와 기업 호실적에 강세


홈 > 로컬뉴스 > 로컬뉴스
로컬뉴스

[뉴욕증시 17일] 관세불안 잠재운 소비지표와 기업 호실적에 강세

웹마스터

다우존스지수 0.52% 상승


17일 뉴욕증시는 강세로 마감했다. 기업들은 전반적으로 호실적을 발표했고, 소비지표도 강하게 반등하면서 관세 불안을 진정시키고 투자자들의 의욕을 자극했다. 이날 다우존스지수는 전장보다 229.71포인트(0.52%) 오른 4만4484.49에 거래를 마감했다. S&P500지수는 33.66포인트(0.54%) 상승한 6297.36, 나스닥지수는 153.78포인트(0.73%) 뛴 2만884.27에 장을 마쳤다. 이날 S&P500지수와 나스닥지수는 이틀 만에 사상 최고치를 다시 경신했다.


예상보다 탄탄했던 소비지표와 기업들의 2분기 실적이 주가지수를 끌어 올렸다. 상무부에 따르면 6월 소매판매는 계절 조정 기준 전월 대비 0.6% 증가한 7201억달러로 집계됐다. 시장 예상치는 0.1% 증가였다. 앞서 5월 소매판매는 전월 대비 0.9%나 급감한 바 있다.


특히 변동성이 큰 자동차와 휘발유, 건축자재, 음식 서비스를 제외한 핵심 소매판매도 전월과 비교해 0.5% 증가한 점이 눈에 띄었다. 6월 수치는 소비지출의 강력한 탄성력을 보여줬다는 게 월가의 평가다.


기업들도 호실적을 잇달아 내놓았다. 유나이티드항공은 시장 예상치를 웃도는 실적에 주가가 3% 상승했다. 펩시코도 2분기 실적이 예상치를 웃돌면서 주가가 7% 급등했다.


넷플릭스도 전망치를 상회하는 2분기 실적을 공개했다. 이날 장 마감 후 공개된 넷플릭스의 2분기 매출은 110억8000만달러, 주당순이익(EPS)은 7.19달러였다. 모두 시장 예상치를 약간 상회했다. 다만, 넷플릭 주가는 시간 외 거래에서 1% 넘게 떨어졌다. 실제치와 예상치 간 괴리가 크지 않아 실망감을 준 것으로 해석된다.


엔비디아와 마이크로소프트, 브로드컴도 강세를 기록하며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엔비디아의 시총은 4조2212억달러에 도달했다. 인공지능(AI) 방산업체 팔란티어도 2% 상승하며 역대 최고치를 다시 썼다.


전기차 제조업체 루시드그룹은 주가가 36% 폭등했다. 향후 6년 동안 최소 2만대의 루시드 차량이 우버의 승차 공유 플랫폼을 통해 로보택시로 운행된다는 소식이 매수 심리를 폭발시켰다.


김문호 기자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