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15일] 관세에 따른 CPI 우려와 엔비디아 기대감 교차


홈 > 로컬뉴스 > 로컬뉴스
로컬뉴스

[뉴욕증시 15일] 관세에 따른 CPI 우려와 엔비디아 기대감 교차

웹마스터

 다우존스지수 0.98% 하락


15일 뉴욕증시는 혼조세로 마감했다. 6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예상치엔 부합하거나 밑돌았으나 전월 대비 상승 폭이 확대됐다는 점에 경계감이 커지면서 우량주 위주로 매도세가 강해졌다. 다만, 엔비디아의 H20칩이 다시 대중(對中) 수출을 허가받으면서 기술주는 강세를 보였다.


이날 다우존스지수는 전장보다 436.36포인트(0.98%) 떨어진 4만4023.29에 거래를 마감했다. S&P500지수는  24.80포인트(0.40%) 하락한 6243.76, 나스닥지수는 37.47포인트(0.18%) 오른 2만677.80에 장을 마쳤다.


6월 CPI는 시장 예상치를 웃돌지는 않았으나 관세 여파가 곳곳에 나타났다는 점에서 시장은 경계감을 키웠다. 노동부는 6월 전품목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월 대비 0.3% 상승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5월의 0.1% 상승보다 0.2%포인트 확대된 것이다. 전년 동기 대비로는 2.7% 올라 마찬가지로 5월의 2.4%보다 0.3%포인트 높아졌다.


가정용품과 생활필수품 등에서 관세 여파가 나타나기 시작했다는 점이 불안 요인으로 지목됐다. 가정용 가구 및 용품의 가격은 5월 대비 1.0% 상승했다. 지난 2022년 1월 이후 가장 높았다. 가전제품은 1.9%나 뛰었고, 비디오 및 오디오 제품의 가격도 1.1% 올랐다. 장난감 가격은 1.8%, 의류 가격은 0.4% 각각 상승했다.


이 같은 결과에 우량주 위주로 구성된 다우지수의 30개 종목 중 기술주를 제외한 모든 종목이 하락했다. 관세 여파가 가시화하자 산업 전반에 대한 투자심리가 약해진 것이다.


업종별로는 1.27% 오른 기술주를 제외한 모든 업종이 하락했다. 기술주 업종에선 엔비디아가 '멱살 잡고' 끌어올리는 형국이었다.


연방정부가 엔비디아의 H20 칩에 대한 중국 수출제한 조치를 해제하면서 엔비디아 주가가 4% 뛰었다. 이에 엔비디아의 시가총액은 4조1650억달러까지 확대됐다. 브로드컴과 TSMC, ASML도 강세였고 AMD는 6.41% 뛰었다.


시총 1조달러 이상의 거대 기술기업 중엔 마이크로소프트와 애플, 아마존, 알파벳이 상승했고 메타와 테슬라는 1%대 하락률을 기록했다.


비기술주들은 재미를 보지 못했다. 제약사 일라이릴리는 3.45% 떨어졌고, 가정용품 전문 매장 홈디포도 3.10% 밀렸다. 월마트와 코스트코 등 대형 마트 체인도 약세였다. 


금융주도 2분기 호실적을 기록하며 3% 이상 오른 씨티그룹을 제외하면 전반적으로 투심이 악화했다. 웰스파고는 2분기 호실적에도 불구하고 순이자수익 전망치를 하향 조정하면서 5% 이상 떨어졌다. JP모건체이스도 양호한 실적에도 약세를 보였다. 


김문호 기자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