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6월 30일] 무역협상 낙관론에 3대 지수 상승


홈 > 로컬뉴스 > 로컬뉴스
로컬뉴스

[뉴욕증시 6월 30일] 무역협상 낙관론에 3대 지수 상승

웹마스터

S&P500·나스닥지수 최고치 경신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정책 유예기간 종료를 앞두고 무역협상 타결 낙관론이 부상하면서 지난 30일 뉴욕증시 주요지수는 최고치를 경신했다.


이날 다우존스지수는 전장보다 275.50포인트(0.63%) 오른 4만4094.77에 거래를 마쳤다. S&P500지수는 31.88포인트(0.52%) 오른 6204.95, 나스닥지수는 96.27포인트(0.47%) 오른 2만369.73에 각각 마감했다. S&P500지수와 나스닥지수는 지난 27일 종전 최고점을 돌파한 데 이어 이날 상승으로 최고치를 다시 넘어섰다. 


캐나다가 미국 테크기업을 상대로 한 이른바 '디지털세' 부과 방안을 전날 철회하면서 미국과 캐나다 간 무역협상 타결 낙관론을 높였다.


이 같은 발표는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27일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트루스소셜에 캐나다의 디지털세를 "노골적인 공격"이라고 지목하며 "캐나다와 모든 무역 대화를 즉각적으로 종료한다"고 선언한 지 이틀 만에 나온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디지털 서비스세가 구글, 애플, 아마존, 메타 같은 미국의 거대 기술기업을 겨냥해 일방적으로 부과되는 차별적인 관세라고 주장해왔다.


트럼프 행정부 상호관세 정책의 90일 시행 유예가 만료를 앞둔 가운데 시장 참가자들은 영국, 중국 등 다른 주요국과의 무역협상 타결을 낙관하며 협상 관련 새로운 소식을 기다렸다.


스콧 베선트 재무부 장관은 이날 블룸버그 인터뷰에서 "우리와 신의성실하게 협상하는 국가들이 있지만, 그들은 만약 우리가 그들의 저항 때문에 결승선을 넘지 못한다면 우리가 4월 2일 수준으로 돌아갈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 난 그런 일이 일어나지 않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그는 "늘 그렇듯이 마지막 주에 다가가면 압박이 커지면서 (협상이) 부산해질 것"이라고 언급하기도 했다.


케빈 해싯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은 이날 CNBC와의 인터뷰에서 현재 의회에서 공화당 주도로 입법이 진행되고 있는 감세법안이 통과된 직후 트럼프 대통령이 국가별 상호관세를 설정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4월 2일 국가별 상호관세를 발표했다가 4월 9일부터 90일간 상호관세를 유예하고 주요 교역국과 무역 협상을 진행해왔다.


이에 따라 유예시한인 7월 8일까지 협상을 타결하지 못하는 국가에는 7월 9일부터 상호관세를 다시 부과할 전망이다.


소프트웨어 기업 오라클이 연간 300억달러 규모의 매출을 확보하는 클라우드 계약을 수주했다는 소식에 주가가 장중 최고치를 경신하는 흐름을 보였다. 마감가 기준으로는 4% 상승했다. 홈디포는 건축자재 유통업체 GMS를 약 43억달러에 인수하기로 했다고 밝히면서 주가가 0.5% 하락했다. 


반면, GMS는 11% 급등했다. 플라잉택시(eVTOL) 제조업체 조비 에비에이션이 아랍에미리트(UAE)에 첫 전기 항공기를 인도했다는 소식에 주가는 11% 급등했다. JP모건체이스는 0.98%, 씨티 0.88%, 웰스파고 0.78% 올랐다. 


김문호 기자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