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능력과 의지 고려한 클래스 스케줄 짜라"


홈 > 로컬뉴스 > 로컬뉴스
로컬뉴스

"능력과 의지 고려한 클래스 스케줄 짜라"

웹마스터

대학 입시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은 학교성적이다. 탄탄한 성적에 과외활동, 에세이 등 다른 요소들이 받쳐줘야 한다. 메릴랜드주의 명문사립 존스 홉킨스대 캠퍼스. /Johns Hopkins University


고등학교에서 전 과목 A를 받으려면 

현실적으로 얼마나 많은 시간을 학과목에 투자할 수 있는지 판단하고

도움 필요하면 주저하지 말고 교사에게 도움 청하고, 튜터링도 받아야


탑 대학에 합격하는 전형적인 학생의 특징을 생각할 때 우리는 몇 가지를 떠올린다. 적극적이고 폭넓은 과외활동, 성실하고 열심히 노력하는 자세, 그리고 모든 과목에서 A를 받은 성적 증명서다. 이중 거의 완벽한 성적을 받는 것은 탑 대학 합격의 필수 조건으로 알려져 있다. 최고의 성적이 합격을 보장하지는 않더라도 좋은 성적이 없이는 명문대 입학문을 뚫기 어렵다. 대학의 학업을 소화해낼 수 없다고 학교가 판단하기 때문이다. 그럼 고등학교에서 거의 완벽한 성적을 받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 

김수현 교육 객원기자


◇균형 있는 수업 스케줄 짜기  

평소 성취도가 높고 야심이 있는 학생들은 강도 높은 수업 위주로 클래스 스케줄을 구성하고 과외 활동 또한 열심히 하는 경향이 있다. 그래서 과중한 부담을 느끼기 쉽고, 자칫하면 이런 경향이 저조한 성적을 가져오거나 과도한 스트레스와 번아웃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런 경우 여러가지 과외활동을 동시에 진행하면서 최대한 많은 AP과목을 수강하는 대신 강도 높은 수업들에 현실적으로 얼마나 많은 시간을 할애할 수 있는지, 그리고 어떤 과목에 도전하고 싶은지 진지하게 생각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대학에서 STEM 분야를 전공하고 싶지만 영어에 어려움을 겪는다면, 그리고 다른 과외 활동이 있다면 AP영문학을 수업 스케줄에 추가하기 전에 다시 한번 생각해 보라. 학교 스포츠팀 캡틴으로 활동하는 것에 많은 시간을 할애해야 할 것이라고 생각한다면 수업 스케줄에서 강도 높은 수업과 레귤러 수업의 숫자를 균형 있게 조절하는 것이 좋다. 

일반적으로 난이도 높은 수업을 수강할 때마다 레귤러 수업의 숙제와 공부보다 주당 3~5시간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고 가정할 수 있다. 따라서 자신이 감당할 수 있는 일정을 선택해야 한다. 이렇게 하면 각 과목에 전념할 충분한 시간을 확보해서 가능한 모든 과목에서 A를 받을 가능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움이 필요할 때 일찍 요청하기 

고등학교에서 가장 수준 높은 과목들은 진도가 매우 빠르다. 한 주제에 며칠 이상 집중하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특정 개념을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있다면 가능한 빨리 도움과 설명을 요청해야 한다. 너무 오래 기다리다 지금 배우는 내용에 대한 질문을 해결하지 못하면, 진도가 다른 챕터로 넘어가서 내용을 따라잡기 어려울 수 있다. 

특정 과목에 대한 도움이 필요한 경우 도움을 받을 수 있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다. 

몇 가지 질문만 있다면 교사나 그 과목을 잘 이해하는 같은 반 학생이 빠르게 도움을 줄 수 있다. 몇 가지 질문으로 해결할 수 없고 여러 개념을 이해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 개인 튜터 등을 통해 개념을 다시 한번 살펴보고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을 보완하는 시간을 가져본다. 

대부분의 수업에서 이해되지 않는 부분이 있을 때 시간을 좀 더 투자하고 도움을 요청하면 대체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규칙적으로 생활하고 체계적인 계획 세우기 

가장 성공적인 고등학생들은 체계적으로 매일의 생활을 운영하는 학생들이다. 가능한 수업을 마친 뒤 바로 공부하고 숙제를 마치는 습관을 가져야 한다. 또한 공부와 과외활동을 하지 않을 때는 적절한 휴식 시간을 갖도록 계획하는 것도 필요하다. 휴식 시간은 학생들이 활력을 되찾고 집중력을 유지하는데 큰 도움이 된다. 

또한 모든 숙제와 프로젝트의 일정을 항상 기록하고 확인해야 한다. 한 과목의 프로젝트를 밤 늦게까지 열심히 했는데 다음 날 다른 과목의 숙제를 깜빡 잊어버리는 상황은 일어나지 않도록 조치해야  한다. 

매일 플래너(planner)를 쓰면서 그 날 그 날 해야 할 일, 약속, 숙제 등을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하라. 이렇게 하면서 정기적으로 업데이트만 한다면 해야 할 일을 잊어버리는 일은 없을 것이다. 


◇스터디 그룹 만들기

상황에 따라 스터디 그룹은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열심히 노력하는 친구들과 함께 공부하면 결국 내가 준비해야 할 분량에 대해 책임감을 가지고 공부하게 된다. 또한 내가 어느 부분에서 개념을 이해하지 못할 때에도 이를 잘 이해한 친구들로부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비슷한 또래인 친구들은 학업을 소화하는 눈높이가 비슷하기 때문에 보통 이해하기 쉬운 용어로 설명한다. 

만약 내가 수업에서 다루는 모든 개념을 이해하는 학생이라면 스터디 그룹을 활용해서 친구들에게 개념을 설명하는 연습을 할 수 있다. 개념을 설명하고 다른 사람들의 질문에 답하는 것은 내가 개념을 진정으로 이해하고 더 잘 기억하고 있는지 확인하는데 도움이 된다.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