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21일] 트럼프 '파월 때리기' 지속에 급락


홈 > 로컬뉴스 > 로컬뉴스
로컬뉴스

[뉴욕증시 21일] 트럼프 '파월 때리기' 지속에 급락

웹마스터

투자자들 '연준독립' 훼손 우려

다우산업평균지수 2.5% 내려 


21일 뉴욕증시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정책 불확실성 지속과 연방준비제도(연준)의 독립성과 달러화 지위에 대한 의구심이 커지면서 급락했다.


이날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971.82포인트(-2.48%) 떨어진 3만8170.41에 거래를 마쳤다. S&P500지수는 124.50포인트(-2.36%) 내린 5158.20, 나스닥지수는 415.55포인트(-2.55%) 내린 1만5870.90에 각각 마감했다.


이날 증시는 관세협상이 진전을 보이지 않고 있는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은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을 상대로 금리인하 압박을 지속한 게 투자자들의 우려를 키웠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자신의 트루스소셜에 "'미스터 투 레이트'(Mr. Too Late·의사결정이 매번 늦는다는 뜻)이자, 중대 실패자(a major lose)가 금리를 내리지 않으면 경기둔화가 있을 수 있다"고 썼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7일에도 "내가 그의 사임을 원하면 그는 매우 빨리 물러날 것"이라면서 사퇴 압박성 발언을 하기도 했다.


이런 외부적 환경 속에 '매그니피센트7'(M7)로 대변되는 대형 기술주들의 낙폭이 컸다. 엔비디아가 4.5% 하락했고, 테슬라는 1분기 실적 발표를 하루 앞두고 5.8% 급락했다. 아마존(-3.1%), 메타(-3.4%) 등 다른 대형 기술주도 3%대 낙폭을 보였다.


국채가격은 주가와 동반 하락(국채금리 상승)했다. 전자거래 플랫폼 트레이드웹에 따르면 이날 뉴욕증시 마감 무렵 10년 만기 국채 수익률은 4.41%로, 직전 장 마감 시간인 17일 오후 2시께 대비 8bp(1bp=0.01%포인트) 올랐다.


국제유가는 급락했다. 뉴욕상업거래소에서 5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 종가는 배럴당 63.08달러로 전 거래일보다 1.60달러(2.47%) 하락했다.


김문호 기자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