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정아의 수필로 쓴 세상] 무엇이 우리를 행복하게 할까?


홈 > 로컬뉴스 > 로컬뉴스
로컬뉴스

[이정아의 수필로 쓴 세상] 무엇이 우리를 행복하게 할까?

웹마스터

이정아

수필가


결혼 후 5년을 넘겨 아이가 태어나자 온 집안이 난리도 아니었다. 아이 못 낳는 며느리라고 눈총깨나 받던 내가 증명하나를 떡 내놓으니 뒷전에서 수군대던 사람들이 낯이 없게 되었다. 속이 꼬부라져 있던 나는 그게 제일 좋았다. 그동안 받은 설움이 다 가시는 듯하였다. 친정엄마 말을 빌면 고추까지 달고 나와 우리 모녀의 기를 살려주었단다. 친정엄마는 당사자인 나보다 속으로 얼마나 애를 태우고 기도했는지 모른다.


갓 태어난 아이는 존재만으로도 남에게 기쁨이 된다. 아무 것도 할 줄 몰라도 아이는 가족에게 주변 사람들에게 웃음을 주고 행복을 줄 수 있으니 말이다.


어른이 되어감에 따라 인간은 점점 행동으로 가치를 판단받게 된다. 더욱이 그 행위가 나보단 남을 위한 것일 때 ‘성숙한 삶이자 보람 있는 삶’ 이라는 평가를 받을 것이다. 그러니 살아있는 동안에는 존재(being)보단, 무엇을 하고 사는가(doing)가 중요한 화두가 아닐까 한다.


얼마 전까지 관심을 많이 받는 학문 중에 행복학(Science of Happiness)이라는 것이 있었다. 타임지에 특집으로 실린 기사를 보니, 우리에게 행복을 가져다주는 것은 자녀(77%), 친구(76%)처럼 가까운 곳에서 찾을 수도 있지만 남을 위한 봉사(75%)도 거의 비슷한 비율의 우위를 차지하고 있다. 나와 내 주변을 돌보며 남을 행복하게 하면 내가 행복해진다는 것은, 알면서도 쉽게 행하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


남을 위하고자 할 때는 나의 것을 희생해야 하니 그것이 어려운 것이다. 자신의 시간이나 물질을 희생하지 않고 남을 돕는 것을 진정한 봉사라고 할 수 있을까? 사회에 참여하고 대인관계의 기여도가 높을수록 행복지수는 배가 된다고 조사는 이야기하고 있다.


한인타운에는 크고작은 단체가 무수히 많다. 비영리 봉사단체에 친목단체, 취미모임 등. 그 주변에 가끔 이런 분이 계시다. 뭐든 다 간섭하고 싶고 중심에 서고 싶은데 남의 시간이나 남의 물질을 이용하는 분들. 생색은 혼자 내면서 희생은 전무한 사람. 각광 증후군에 걸린 관종. 그런 사람이 끼어있는 단체나 그룹은 평화롭지 않다. 늘 삐걱댄다.


김형석 교수님은 최근의 저서 ‘100세 철학자의 사랑수업’에서 이런 말씀을 하셨다. 올해 105세인 지금도 직접 원고를 쓰고 강연을 하는데, 마감 1주일 전이면 준비를 마친다신다. 마감이 가까워져 일에 쫓기는 스트레스를 받지 않기 위해서다. 술이나 담배, 스트레스 외에 ‘이기주의자’도 건강에 해롭긴 마찬가지라며 “상대가 이기주의자라는 판단이 서면 안 만나는 것이 좋다. 고통을 주기 때문이다. 그런 사람은 내 힘으로 바꿀 수 없다.” 인생 선배의 솔직한 체험담이다.


이기적인 많은 이들이 위선의 너울을 쓰고 본인만의 품위로 포장한 채 동분서주 하는 걸 본다. 행복의 기준도 모두의 행복에서, 소확행으로, 이젠 소확행은 지나고 ‘아보하(아주 보통의 하루)’라며 개인적인 행복을 추구하는 시대가 되었다.


이런 시대에 “나는 과연 남에게 이로운 존재인가? 바쁜만큼 행복한가? 묻는다면 무어라 할 것인가. 답변이 어려운 시대를 살고있다. 우리.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