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정운용] MVA: Market Value Adjustment 이해하기
매튜 김
아메리츠 파이낸셜 부사장
오늘날 복잡한 마켓 환경에서 안정적인 은퇴소득을 추구하는 사람들에게 원금보장과 마켓의 상승을 간접적으로 누릴 수 있는 Index Annuity(주가지수형 연금)은 굉장히 매력적인 상품일 것이다. 하지만 겉보기에는 단순해 보이는 이 상품에는 조기인출 시 당신의 수익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특징이 숨어 있는데, 바로 MVA(Market Value Adjustment)이다. MVA를 이해하는 것은 모든 연금 가입자에게 매우 중요한데, 이는 조기인출 시 돌려받는 금액이 더 높아지거나 낮아질 수 있기 때문이다.
MVA가 존재하는 핵심적인 이유는 이자율 변동으로 인한 보험회사의 손실을 보호하는 것이다. 누군가 연금상품을 구매하면 보험회사는 가입자의 보험료를 보통 장기채권에 투자하여 가입자에게 약속한 이자율을 맞추려고 노력한다. 계약기간이 끝나기 전에 자금을 인출하기로 결정했을 때, 가입자의 이자율이 연금을 처음 구매했을 때보다 낮으면 보험사는 해당 자금을 더 불리한 이자율로 재투자 할 수밖에 없다. 이러한 잠재적 손실을 보상하기 위해 보험회사는 마이너스 MVA를 적용하여 가입자가 받는 금액을 줄인다. 반대로, 구매 이후 이자율이 상승했다면 보험사는 인출된 자금을 더 높은 이자율로 재투자할 수 있어 인출금액을 늘리는 플러스 MVA를 적용하여 가입자가 받는 금액을 늘려준다.
이자율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이유는, 보통 채권 이자율은 채권 발행 시 이자 시세에 따라 비슷하게 맞춰지게 되어 있고, 채권이 만기되기 이전에 이자율이 올라가게 되면, 만기되지 않은 채권을 팔기 위해서는 원금을 discount 하여 팔아야 하기 때문에 손해가 있기 때문이다. 반면에 채권 구매 이후 이자율이 떨어지게 될 경우, 새로 발행된 채권들보다 경쟁력이 있기 때문에 웃돈을 받아 판매할 수 있어, 그 수익 또한 가입자에게 전가가 될 수 있는 것이다.
MVA 계산은 보험회사가 임의적으로 정하는 것이 아닌 계약에 명시된 공식에 따라 이루어지며, 연금의 남은 기간, 계약 이자율과 유사한 투자의 현재 시장 이자율 간의 차이, 그리고 미리 정해진 Adjustment Factor와 같은 요소들을 고려한다. 남은 기간이 길수록, 이자율 차이가 클수록 일반적으로 더 큰 MVA가 발생하며, 이는 플러스 또는 마이너스의 상황 모두 해당된다. 가입자에게 MVA의 의미를 이해하는 것은 중요하다. 계약 만기일 전에 돈을 되찾아야 할 상황이 예상된다면 MVA의 잠재적 영향을 충분히 이해하고 가입해야 할 것이다.
MVA에 대해 설명하다 보면 부정적인 시선으로 바라보게 되는 경우가 많은데, 꼭 그렇지만은 않다. 그 이유는 첫째, MVA는 만기 이전에 해약할 경우에만 적용이 되기 때문에 만기까지 유지하면 걱정할 것이 아니다. 둘째, 지금처럼 이자율이 높을 때 가입을 하여 앞으로 이자율이 떨어질 것을 예상한다면 오히려 만기 이전에 해약하더라도 돈을 더 받을 수 있는 상황이 된다. 셋째, MVA는 모든 상품에 있는 것이 아님으로, MVA가 부담이 된다면 MVA가 없는 상품을 가입하면 된다.
결론적으로, MVA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이해하고, 연금 계약을 주의 깊게 검토하고, 조기 해약이 필요한 상황들을 고려하여 내 재정상황에 맞는 상품을 찾아야 할 것이다. MVA가 당신의 개별 상황에 어떻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이해하려면, 이러한 것들을 자세히 설명 및 안내해 줄 수 있는 경험과 전문성이 있는 전문가를 만나 상담받기를 추천한다. 문의 matthewkim@allmerit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