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주간전망(7~11일)] 트럼프 관세정책 최대 재료


홈 > 로컬뉴스 > 로컬뉴스
로컬뉴스

[뉴욕증시 주간전망(7~11일)] 트럼프 관세정책 최대 재료

웹마스터

중국 보복관세에 트럼프 대응은?

CPI·PPI 등 주요 경지지표도 관심


5일 다우존스 마켓 데이터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1월 17일 취임한 후, 뉴욕증시에 상장된 기업의 시가총액은 11조1000억달러가 사라졌다. 지난 2거래일(3~4일)에만 역대 최대인 6조6000억달러가 증발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기본ㆍ상호관세를 발표한 이후 벌어진 일이다.


이번 주(7~11일)에도 뉴욕증시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정책을 최대 재료로 삼을 전망이다. 특히, 중국에 또다시 관세로 압박할지가 초미의 관심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간 미국의 관세를 보복관세로 받아칠 경우 더 강하게 대응할 것임을 밝힌 바 있다.


스콧 베센트 재무부 장관도 지난 2일 폭스뉴스와 인터뷰에서 "보복 조치를 한다면 상황은 더욱 악화할 것이지만, 없다면 더는 올라가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한 바 있다.


그러나 중국은 미국산 상품에 대해 34%의 보복관세를 부과한다고 전날 발표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에 매긴 상호관세의 수준(34%)과 같다. 중국은 희토류 수출도 제한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 소식에 "중국은 잘못된 결정을 했다"면서 "그들이 감당할 수 없는 일"이라고 답했다.


프리덤 캐피털 마켓츠의 시장 전략가인 제이 우즈는 "미국이 반격한다면 경제 전체에 피해를 줄 수 있다"면서 "기술 분야만 아니라 우리를 경기침체로 몰고, 우리가 아는 강세장을 끝내버릴 수 있다"고 우려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강공으로 일관한다면 전 세계는 경기침체 우려가 더욱 커지게 된다. JP모건은 이미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발표 직후 세계경제의 침체 가능성을 60%로 올려잡았다.


이번 주에는 주요 경제지표도 나온다. 우선, 오는 9일에는 3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의사록도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정책의 영향을 두고 연준위원 간에 어떠한 이야기가 오갔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10일엔 3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발표된다. 시장 전망치는 전달 대비 0.1% 상승이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2.6% 올랐을 것으로 예측됐다. 11일에는 3월 생산자물가지수(PPI)가 나온다. 전문가들은 3월 PPI가 전달 대비 0.2% 상승했을 것으로 전망했다. 


김문호 기자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