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산위기 놓였던 인하대 김포 메디컬 캠퍼스 사업 본궤도


홈 > 로컬뉴스 > 로컬뉴스
로컬뉴스

무산위기 놓였던 인하대 김포 메디컬 캠퍼스 사업 본궤도

웹마스터


8000억대 자금조달 계획

학교법인 이사화 통과


건축비 분담 갈등으로 무산 위기에 놓였던 인하대 김포 메디컬 캠퍼스 조성 사업이 다시 본궤도에 올랐다.

2일 김포도시관리공사(이하 도시공사)에 따르면 인하대 측은 지난달 31일 도시공사에 김포 메디컬 캠퍼스 조성을 위한 사업계획서를 제출했다. 인하대를 운영하는 학교법인 정석인하학원은 지난달 27일 이사회를 열고 8천억원대 사업비를 조달하는 계획을 승인한 것으로 파악됐다. 

앞서 인하대는 이번 사업을 위한 건축비 중 1600억원 지원을 요구하면서 도시공사와 갈등을 빚었고 사업이 무산 위기에 놓이자 "사업대상지 토지를 무상 제공하고 건축비 100억원을 지원하면 사업을 추진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인하대 측의 사업계획서를 접수한 도시공사는 사업 대상지 풍무 역세권 도시개발 구역의 시행사인 프로젝트 금융투자회사(PFV) 풍무 역세권 개발과 협의해 구체적인 사업 추진 방안을 마련할 방침이다.

이 사업은 김포 풍무역세권 도시개발구역 내 대학용지 9만㎡를 인하대에 제공하고, 700병상 규모 대학병원과 보건계열 대학·대학원 등 교육시설을 짓는 내용이다. 2022년 2월 도시공사, 인하대, 풍무 역세권 개발은 이 사업을 위해 3자 간 합의서(MOA)를 체결했으나 이후 건축비 분담 방안과 관련한 이견으로 사업에 진척이 없었다.

도시공사 관계자는 "인하대가 당초 약속한 대로 사업계획서를 제출한 만큼 PFV와 내용을 상의하고 김포시에도 관련 내용을 설명할 계획"이라며 "관련 절차가 정상적으로 마무리된다면 인하대 측과 토지 매매계약을 체결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아직 관계 기관 간 협의가 마무리되지 않은 데다 수도권 내 대형병원 설립을 위한 절차도 밟아야 해 사업이 속도를 낼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보건복지부는 의료자원 쏠림 현상을 완화하기 위해 수도권에서 신규 병상 공급을 제한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지난해 말에는 관련법 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해 300병상 이상의 대형 종합병원이 분원을 설립할 때는 보건복지부 장관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인하대 관계자는 "도시공사와 긴밀하게 협의하면서 김포 메디컬 캠퍼스 사업이 본격화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