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발전에 포커스, 한인 불체자 문제에도 관심"


홈 > 로컬뉴스 > 로컬뉴스
로컬뉴스

"경제발전에 포커스, 한인 불체자 문제에도 관심"

웹마스터

<미주조선일보LA와 함께 뜁니다>조이스 안 부에나파크 시장

3번째 한인 시장··· 타커뮤니티와도 교류

11세 때 이민온 1.5세, 전직 '하키 맘'

5번·91번 프리웨이에 코리아타운’ 표지판 계획


대부분 아시아계 엄마들과는 달리 조이스 안<사진> 부에나파크 시장은 '하키 맘(Hockey mom)' 이었다.

그는 잘 나가던 사업가였으나 큰 아이가 고등학교에 입학한 후 자녀 양육에 '올인' 했다. 커뮤니티 봉사나 비영리단체 회장을 역임하고, 학부모 모임 대표를 맡으면서 여러 권익이나 교육현안 등에 눈을 뜨게 되었고 선거에 출마한 한인후보들을 도우면서 정치에 대한 현실과 비전을 동시에 품었다.

대구에서 태어난 안 시장은 1975 1월 이민 와 일찍 생활전선에 뛰어 들었다. 2베드에서 다섯 식구가 생활하는 현실에서 12세때부터 부모를 도와 아르바이트를 해야만 했다. 우드밸리 대학교에서 마케팅과 국제비즈니스를 전공하였으며 대학시절 테니스 선수로 활약했다. 그녀의 인생을 바꾼 것은 컴퓨터 회사 ‘네이션와이드였다. 그 곳에서 어카운팅, 전화 세일즈, 프로젝트 매니저 등 다양한 경험을 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컴퓨터 인더스트리에 종사하게 됐다.

처음 삼보컴퓨터 미국지사를 시작으로 월마트, 코스트코, 베스트바이 등에 납품하고 북미, 남미 등 모든 시장에 판매한 경험을 바탕으로 ’Averatec’이라는 자신만의 새 브랜드로 컴퓨터와 노트북을 내놓는다. 당시 점유율 1위인 소니의 반값이지만 품질 만큼은 뒤지지 않는다는 전략으로 한때 시장 점유율 30%를 달성하기도 했다. 이때의 성공이 오늘날 경제시장을 표방하는 조이스 안의 모토로 고스란히 녹아들었다. 

안 시장이 포커스를 두는 정책은 크게 두 가지다. 부에나파크의 경제발전을 이루고, 한류를 주류사회에 소개하는 것이다. ‘경제발전이 포커스라는 슬로건으로 오렌지카운티 상공회의소를 부에나파크에 유치했고, 한상대회를 열기도 했다. 상공회의소 멤버들과 대화를 많이 나누고 시내에 위치한 호텔들을 연결해 숙박하도록 하면서 비즈니스 딜을 성사시키는데 주력하고 있다

한류의 발전을 위해서도 여러 가지 공헌을 하고 있다. 한복 행사를 개최하고 부스를 만들어 한국음식을 소개하는 시간도 자주 가졌다. 민요대회를 개최해 한국의 판소리 보급에도 앞장섰으며 국기원과 협력해 태권도 발전에도 힘쓰고 있다. 서울 성북구나 안산시 처럼 우정의 도시와는 지속적인 상호교류를 하고 있으며, 특별히 지역 내 코리아타운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을 실천하고 있다

남가주 최대 한인상가 밀집지역 중 하나인 부에나파크 코리아타운은 오렌지소프와 로즈크랜스 애비뉴 사이 비치 불러바드이다. 이 길에는 3개의 대형 한인마켓을 비롯해 약 1000개에 달하는 한인 업소들이 밀집되어 있다. 안 시장은 5번과 91번 프리웨이 출구 사인을 코리아타운으로 만드는 계획도 세웠다. 

1지구에 위치한 우정의 공원의 테마 설계를 비롯해 한인 시니어들의 영어 프로그램 적응을 돕고 있으며 코리언 시니어 박람회 3년째 개최하고 있다. 한인 경관 5명이 시청에 상주하며 한국어 통역 서비스 제공을 통해 영어미숙자들이 불이익을 당하지 않도록 돕고 있다

요즘 가장 신경 쓰는 것은 한인 불체자 문제이다. 기민한 대응을 위해 시장이기 전에 시의원 자격으로 연방 상·하원의원에게 직접 편지를 보내 체류신분 때문에 문제가 된 한인 관련 이민국 업무 진행상황을 신속하게 알려달라는 부탁을 하고 있다가족들의 든든한 지원과 응원이 큰 힘이라는 안 시장은 오직 행동으로 옮기는 시장이 되기 위해 발로 뛰고 있다.

이훈구 기자 la@chosundaily.com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