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금상식] 2024년 표준공제 변화와 절세전략

오신석 CPA
오신석 회계그룹 대표
표준공제(Standard Deduction)는 대부분의 납세자가 활용하는 기본적인 세제혜택입니다. 2024년 세금보고 시즌을 대비하여, 표준공제의 주요 변화와 절세전략을 살펴보겠습니다.
1. 2024년 표준공제액
2024년 표준공제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부부 공동신고(Married Filing Jointly): $29,200
-싱글(Single) 또는 부부 별도신고(Married Filing Separately): $14,600
-세대주(Head of Household): $21,900
이는 매년 물가상승에 따라 조정되며, 개인의 소득과 세무 계획에 따라 신고 방법을 신중히 선택해야 합니다.
2. 65세 이상 또는 시각장애인 추가공제
65세 이상 또는 시각장애인은 추가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싱글 및 세대주: $1,850 추가공제
-부부 공동신고 및 별도신고: 한 명당 $1,500 추가공제
-부부 공동신고 시 두 명 모두 해당: 총 $3,000 추가공제
예를 들어, 65세 이상 부부가 공동신고하면 기본공제 $29,200에 추가공제 $3,000이
더해져 총 $32,200까지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3. 부양가족(Dependents)의 표준공제
부양가족으로 신고되는 개인은 일정 기준에 따라 표준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2024년 기준, 부양가족의 표준공제액은 근로소득 + $450 또는 최소 $1,300 중 더 큰 금액이 적용됩니다.
예를 들어, 부양가족 Susan(17세)의 근로소득이 $2,000이라면, 표준공제액은 $2,450($2,000 + $450)이 됩니다.
4. 배우자가 별도로 신고하는 경우 주의사항
부부가 별도신고(Married Filing Separately) 하면 한 배우자가 항목별공제(Itemized Deduction)를 선택하면 다른 배우자도 반드시 항목별공제를 선택해야 합니다. 따라서 표준공제를 선택할 수 없으며, 공제 금액이 줄어들 가능성이 있습니다. 또한, 모기지 이자공제(Mortgage Interest Deduction), 자선기부금(Charitable
Contributions) 등에서 제한이 발생하며, 부부 공동신고보다 세금 부담이 커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부부 별도신고를 고려하는 경우 신중한 검토가 필요합니다.
5. 표준공제 vs. 항목별공제(Itemized Deduction) 선택 전략
납세자는 표준공제와 항목별공제 중 유리한 방식을 선택해야 합니다. 항목별 공제는 다음과 같은 항목을 합산하여 계산됩니다.
-의료비 및 치과 비용: 조정 총소득(AGI)의 7.5% 초과분 공제
-주 및 지방세(SALT): 최대 $10,000 공제
-모기지 이자: 일정 요건 충족 시 공제 가능
-자선 기부금: AGI의 최대 60%까지 공제 가능
-재해 및 도난 손실: 연방 재해 선언 지역에서 공제 가능
항목별 공제 총액이 표준공제보다 많다면 항목별공제를 선택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6. 2024년 세금전략을 위한 준비
2024년 세금신고에서 최대한의 공제혜택을 누리기 위해 다음 사항을 점검하세요.
-65세 이상 또는 시각장애인 추가공제 적용 여부
-부양가족으로 신고 시 적절한 공제 활용
-배우자와의 신고 방법(공동 vs. 별도 신고) 선택
-항목별공제와 표준공제 중 유리한 방식 선택
보다 정밀한 절세전략을 위해 세무 전문가와 상담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2024년 세금보고를 철저히 준비하여 절세혜택을 극대화하시기 바랍니다.
문의 (213) 822-2226, www.okle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