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며 생각하며] 텔레파시


홈 > 로컬뉴스 > 로컬뉴스 > 오피니언
로컬뉴스

[살며 생각하며] 텔레파시

웹마스터

김희식

(주)건축사무소 광장 상무


얼마 전 테슬라의 일론 머스크는 사람의 뇌에 칩을 이식하는 수술에 성공했다는 소식과 함께 제품 이름을 ‘텔레파시’라고 발표했습니다. 임상실험을 거쳐 상용화 된다면, 사지마비 등 몸이 불편한 뤼게릭 환자들이 사람과 소통하고 컴퓨터를 조작하는 단계를 거쳐 기억이식이나 생각만으로도 사이버 공간에 저장하고, 인공지능(AI)을 활용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가 세운 스타트업 ‘뉴럴링크’를 통하여 인간 뇌의 한계를 뛰어넘는 초지능을 실현하겠다는 목표로 이번 임상실험을 전개했다고 합니다. 


마침 그의 자서전 을 읽다보니 제65장 ‘뉴럴링크’편에 올린 사진이 인상적입니다. 오직 뇌파만으로 ‘퐁’게임을 하고 있는 원숭이 사진입니다. 이어지는 내용입니다. “디지털 시대의 가장 중요한 기술적 도약 중 일부는 인간-컴퓨터 인터페이스(Human-Computer Interface) 즉, 인간과 기계가 서로 소통하는 방식의 발전을 들 수 있다. 


20세기 중반 모니터로 비행기를 추적하는 방공시스템을 연구하던 심리학자며 엔지니어인 J.C.R 리클라이더는 1960년 후 세대에 큰 영향을 미칠 ‘인간과 컴퓨터의 공생’ 이라는 제목의 논문을 발표했다. 비디오 디스플레이가 어떻게 ‘컴퓨터와 함께 생각할 수 있게 하는가’에 대한 내용이었다. 그는 머지않아 인간의 두뇌와 컴퓨팅 기계가 매우 긴밀하게 결합될 수 있기를 희망한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이러한 모든 발전에도 인간과 기계와의 입출력은 여전히 엄청나게 느렸다. 


2016년 여행 중이던 머스크는 엄지 손가락으로 아이폰에 문자를 타이핑하다가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린다고 불평하기 시작했다. 타이핑으로는 뇌에서 기기로 전달할 수 있는 속도가 초당 100비트에 불과하므로 기계에 곧바로 입력할 수 있다면 하는 상상을 하기도 했다. 이를 테면 인간의 머리와 기계가 고속으로 직접 연결된 것처럼. 그는 곁에 있던 샘 텔러에게 컴퓨터와 뇌의 인터페이스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좀 받고 싶은데, 적절한 신경과학자를 찿아볼 수 있을까? 라고 물었다. 머스크는 궁극적으로 인간-기계 인터페이스를 컴퓨터와 뇌에 직접 연결하는 장치가 될 것이라고 생각했다. 


예컨대 뇌 신호를 컴퓨터로 보내고 다시 신호를 받을 수 있는 뇌 내부의 칩과 같은 장치 말이다. 그렇게 하면 사람과 컴퓨터간 정보교류가 최대 100만 배 더 빨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래야 진정한 인간과 기계의 공생이 가능해 진다. 다시 말해, 그래야 인간과 기계가 파트너로 일 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 그는 2016년 말의 뇌에 작은 칩을 이식하여 인간이 컴퓨터 외 마인드할 수 있도록 돕는

뉴럴링크(Neuralink)라는 회사를 설립했다.”(월터 아이작슨著 ‘일론 머스크’, 477쪽, 2023).


하여튼 머스크의 목표에는 대개 실용적인 비즈니스 모델이 수반되기도 합니다만, 20~30년 안에 인간세계를 디지털 기계와 긴밀하게 연결하여 나아가 사람의 지능을 증강시켜 AI로부터 인간을 보호하겠다는 목표를 갖고 있다고 소신을 말하기도 했죠. 영국의 일간지 인디펜던트는 2007년 ‘세상을 바꾼 101가지 발명품을 선정해 소개하는 기사를 게재한 바 있습니다. 그중 상위 1~30위 내 눈길을 끄는 아이템이 있습니다.지금껏 일상생활과 친근한 아이템들 입니다(괄호안은 발명 시기). 1위-주판(珠板,190년, 중국). 3위-아스피린(1899), 5위-가시철조망(1873), 7위-건전지(1800), 10위-블랙베리 휴대전화(1999), 16위-심장박동기(1958), 21위-신용카드(1950), 23위-디지털카메라(1975), 28위-지우개(1770), 30위-광케이블섬유(1966) 등으로 되어있습니다. 만일 일론 머스키가 이번에 개발한 칩 ‘텔레파시’가 성공적인 임상실험을 마치고 선순환 아이템으로 자리잡는다면 세상을 바꾼 101가지 발명품 중 몇 번째에 링크 까? 하는 예측도 해봅니다.


물론, 일각에서는 이번 텔레파시-인간의 뇌-컴퓨터 인터페이스-출시를 위한 획기적인 의료기기 임상실험을 두고 우려의 목소리도 있습니다. 과학저널 ‘네이처’는 뉴럴링크가 임상시험의 기본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공개하지 않았다고 했죠. 일부 뇌 신경공학 전문가는 사지마비 환자를 위한 뇌-컴퓨터 연결 기술에는 뇌 손상을 최소화 하는 여러 방법이 있는데도 뉴럴링크는 더 많은 신경세포에 직접 접근하기 위해 더 많은 전극을 심는 방법을 택했다고 비판하기도 했습니다. 아마도 가장 중요한 것은 환자의 안전이기 때문일 겁니다. 위에서 언급했던 ‘세상을 바꾼 발명품’의 내력만 보더라도 문명의 도구는 작은 시도로 부터 실현됨을 보게 됩니다. 여하튼 ‘텔레파시’칩이 몸 불편한 환자들에게 획기적인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이심전심(以心傳心)을 갖게 합니다.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