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호등] 항공기 사고와 ‘90초 룰(Rule)’


홈 > 로컬뉴스 > 로컬뉴스 > 오피니언
로컬뉴스

[신호등] 항공기 사고와 ‘90초 룰(Rule)’

웹마스터

이보영

민주평통 통일전략 전문위원


2024년 용(龍)의 새해가 밝아오자 잠자던 지룡(地龍)이 기지개를 켜며 꿈틀대니 지축이 흔들리며 찢어지는 대형 지진이 발생했다. 동해(East Sea) 연안에 위치한 일본의 이시카와(石川)현에서 규모 7.6의 지진이

발생해 100여 명이 넘는 인명 피해와 상당수의 건물이 붕괴되고 많은 도로들이 유실되었다. 지진 여파로 인근엔 쓰나미도 발생해 침수 피해까지 겹쳤다.


새해 둘째날엔 천용(天龍)이 용트림을 하니 하늘을 날던 일본항공(JAL) 소속 여객기가 하네다공항에 착륙하던 중 화마(火魔)에 휩싸여 전소(全燒)되는 항공기 사고가 발생했다. 379명(승객 367명, 승무원 12명) 이 탑승한 여객기가 착륙 활주로에서 해상보안청 소속 수송기와 충돌하는 사고가 뱔생한 것이다. 여객기는 전소되었지만, 탑승자 전원이 비상탈출에 성공해 인명 피해가 없었던 것이 불행 중 다행이었다.


일본 언론들은 승무원들의 빠른 판단과 승객들의 일사분란한 움직임이 아니었다면 대형 참사로 이어질 뻔한 사고였다면서, 항공기 사고의 ‘90초 룰(90 Seconds Rule)’ 에 대해 집중 조명했다. ‘90초룰(90 Seconds Rule)’ 이란 미연방항공국(FAA)이 제시한 규정으로 “항공기에 비상상황이 발생하면, 비상탈출구를 통해 모든 승객들이 ‘90초 이내’에 탈출할 수 있도록 대비해야 한다”는 항공기 안전 매뉴얼의

‘Golden Time’ 을 뜻한다.


이번 항공기 사고는 왼쪽 엔진과 날개의 화재로 오른쪽 탈출구의 탈출 슈터(미끄럼틀)를 내려 사용했다.

FAA는 항공기에 화마가 덮치게 되면, 승객들이 질서를 지켜 안전하게 탈출할 수있도록 시간적 여유를

최소한 ‘120초’를 제안했었다. 그 후 FAA는 추가 연구와 실험을 통해 ‘120초’에서 ‘90초’로 단축했다.

FAA는 이 ‘90초 룰’을 1967년부터 모든 항공기 제조사에 적용토록 지시했고, 이에 따라 제조사는 항공기

설계를 변경했다. 당시의 여객기는 평균 100여 명의 승객이 탑승하던 시절이었다.


지금은 800명을 탑승할 수 있는 초대형 항공기가 운항되고, 탑승자들의 평균 몸집도 50년 전보다 커졌다. 좌석배치(Seat Configuration) 또한 점점 더 촘촘해 졌다. 이에 따라 ‘90초 룰’ 적용이 불가능하지만, 그래도 FAA는‘90초 룰’을 여전히 고집하고 있다. 그 이유는 시간이 늘어 질수록 비상탈출의 정신적, 육체적 반응이 해이(Loose)해 질 염려가 있기 때문이다. 지금도 항공기 승무원들이 ‘승객 대피훈련’ 교육을 받을 때, ‘90초 룰’을 목표로 실습 훈련을 반복하고 있다. 이번 하네다공항의 항공기 충돌 사고는 ‘90초 룰’의 덕을 톡톡히 본 셈이다. 379명의 탑승자가 탈출하는데 걸린 시간은 5분이 채 되지 않았다고 한다.


한편, 해상보안청 수송기는 이시카와(石川)현 지진 현장으로 구호물품을 수송하기 위해 6명의 승조원이

탑승하고 있었으나, 5명이 숨지고 기장은 생존했으나 큰 화상을 입었다고 한다. 사고 원인은 이 수송기의 기장이 이륙허가를 받은 것으로 착각한 것이 아닌가? 에 의심을 두고 조사 중이다.


용(龍)의 해 벽두부터 지용(地龍)과 천용(天龍)의 기침위력(起寢威力)이 지구촌을 놀라게 한 사건이었다

일본 동경 근교에 ‘하네다(羽田)공항’이 있다면, 대한민국 서울 근교에는 김포(金浦)공항이 있다. 두 공항은 상호 유사한 점이 많다. 하네다(HND)공항은 1931년 개항했고, 제2차대전 때 일본의 패전으로 1945년부터 미 공군 전용기지로 사용되다가 1958년에 일본 정부에 반환되어 오늘까지 사용되고 있다. 김포공항은 1939년 일제 강점기때 일본군 육군 항공대의 비행훈련장으로 개장한 것이 시작이었다. 1945년 해방 이후 잠시 미군 비행장으로 사용되다가 1950년 6.25전쟁으로 공항이 폐쇄되었다. 1958년부터 ‘김포국제공항’ 으로 명명되어 오늘까지 사용되고 있다.


일본과 한국은 공히 경제성장으로 항공수요가 폭증하자 ‘하네다공항’과 ‘김포국제공항’으로는 항공 교통량을 소화할 수 없게 되자 도심에서 떨어진 곳에 더 넓고 편리한 공항이 필요했다. 일본은 1978년에 ‘나리타(成田)국제공항(NRT)’을 개항했고, 한국은 2001년에 ‘인천국제공항(INC)’을 개항하게 되었다.


공항을 건설할 때에는 다음과 같은 지리적 환경적 조건들이 갖추어져야 한다. 첫째, 평탄하고 광활한 저지대로서, 비가 내려도 토양유실이 적은 단단한 땅이라야 한다. 둘째, 항공기 이착륙 시의 소음 피해가 없도록 도심이나 민가에서 떨어져 있어야 한다. 셋째, 항공기는 맞바람(Head Wind)을 안고 이착륙을 함으로 바람의 방향이 중요하다. 활주로를 건설할 때는 바람이 가장 많이 부는 방향으로 건설하는 것이 정석이다. 넷째, 새들의 서식지가 드문 곳으로 ‘새떼 충돌(Bird Strike)’ 이 발생치 않는 지역이 좋다


공 항내 활주로(Runway)는 겉으로 보기엔 일반도로와 비슷하지만, 그 두께는 수백톤의 하중과 충돌을 견딜 수 있도록 아스콘(Asphalt Concrete) 포장이 일반도로보다 약 3배 정도, 1m 안팍으로 시공된다. 비행장을 ‘공항(空港 : Air-port)’ 이라 칭하게 된 것은 배가 정박하는 ‘항구(港: Port)’ 에서 용어를 차용해 온 것이다.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