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산대에 서면 ‘기부 하실래요?’ 손님은 괴롭다

패스트푸드점· 약국체인등 확산
모금 용이하고 기업 이미지 제고
의도좋아도 강요로 느끼면 ‘글쎄’
유명 중식 패스트푸드 체인 ‘팬다 익스프레스’에서 자주 런치를 해결하는 윤모씨는 계산대 앞에 설 때 마다 살짝 스트레스를 받는다. 매번 캐시어가 ‘어린이병원에 기부를 하겠냐’고 묻기 때문이다. 좋은 의도라는 생각에 처음에는 100% ‘예스’라고 답했지만 일주일에 서 너번 씩 찾다 보니 강요 받는 것 같은 느낌도 생겼다. 하지만 ‘노’ 라고 했을 때의 약간의 미안함과 캐시어의 표정을 보는 것이 부담스러워 고민이 된다는 게 그의 솔직한 말이다. .
인플레이션 심화로 하루가 다르게 물가가 치솟는 요즘, 지갑을 열어야 하는 고객들에게 피곤한 일이 더 있다. 고객이 물건을 골라 계산대에서 즉시 계산하거나, 투고 커피를 주문할 때도 팁을 요구하는 커피숍이나 베이커리 등이 늘어난 데다 , 그것도 모자라 일부 패스트푸드점, 약국체인, 그로서리 스토어 등은 계산대에서 도네이션 여부 까지 묻기 때문이다.
'계산대 기부'는 코로나 팬데믹 이후에는 더 많은 업종으로 확산되는 추세다. 어려운 이웃을 돕자는 취지에 대해서는 이견이 없지만 솔직히 부담감을 느낀다는 고객도 적지 않고, 모금 방식에 대해선 비판적 시각이 존재하는 것도 사실이다.
베이커리에서 도네이션 요구를 받았다는 한 고객은 "내 뒤에 많은 사람들이 줄을 섰을 때 캐시어가 기부 여부를 물으면 거부하기 힘든 분위기"라며 “아마 나 같은 느낌을 갖는 사람이 한 둘은 아닐 텐 데, 이런 점을 노린 것은 아닌가 라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고 전했다
스튜디오시티에 거주하는 김모씨도 비슷한 경험을 했다. 동네의 한 패스트푸드 체인에서 4달러가 채 못 되는 스낵을 구입하고 계산을 하려는 순간 ‘불우이웃 도네이션 괜찮으세요’라는 말을 들었다. 그는 “겨우 스낵 하나 사는데 기부 요청이라니 라는 생각도 들어 기부를 안 했는데 ‘쪼잔하게’ 비쳐질 까 찜찜했다”고 말했다.
기업들의 ‘계산대 기부’ 방식은 비영리단체와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 기업들은 사회에 대한 배려라는 좋은 이미지를 쌓을 수 있고, 고객 만족도에도 플러스 요인이 된다. 비영리단체들 역시 적은 비용을 들여 큰 모금을 하는 이점이 있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고객이 지갑을 열었을 때 기부에 더 후한 마음을 갖게 된다”며 “하지만너무 많은 기업들이 합류하면서 고객들의 두려움도 그만큼 커졌다”고 분석했다. 또 "고객들이 계산대를 통해 기부를 하는 것도 좋은 일이지만 자신의 기부가 어느 단체를 통해 어디로 가는지 정확히 알 필요가 있고, 이런 점에서 이왕이면 자선단체에 직접 기부할 것"을 권유했다.
이해광 기자 hlee@chosun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