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솜한국학교, ‘인물로 배우는 한국 역사’

헐버트 박사 통해 정의와 헌신의 가치 전해
캘리포니아 서니베일의 다솜한국학교(교장 최미영)가 2025∼26학년도 한국 역사·문화 교육 과정의 대주제를 ‘인물로 배우는 한국 역사’로 정하고, 지난 11일 첫 수업에서 호머 헐버트(Homer B. Hulbert, 1863~1949·사진) 박사의 삶과 업적을 조명했다.
헐버트 박사는 1886년 선교사 자격으로 조선에 파견돼 육영공원 교사로 활동하며 교육과 계몽운동에 헌신했다. 그는 대한제국의 잠재력과 한국인의 강인함을 높이 평가하며, 평생 한국인의 권리와 자유를 위해 목소리를 높였다. 잘 알려지지 않은 또 한 명의 헤이그 밀사로서 국제사회에 한국 독립의 정당성을 알렸고, 생애 말기에는 “나는 웨스트민스터 사원보다 한국 땅에 묻히기를 원한다”는 말을 남기고 실제로 서울 양화진 외국인 묘지에 안장됐다. 특별히 그는 1949년 ‘스프링필드 유니언(Springfield Union)’과의 회견에서 ‘한민족이 세계에서 가장 빼어난 이유 5가지’를 밝히며 오늘날 한국의 성장을 70여 년 전에 이미 예견한 선구자였다.
최미영 교장은 이날 강의에서 “재미동포 차세대 학생들이 헐버트의 삶과 꿈을 배우며 자신이 속한 공동체를 위해 정의롭고 헌신적인 삶을 살아가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 학생들은 헐버트 박사의 어록 가운데 가장 감동적인 문장을 골라 발표했으며, 팀별로 포스터를 제작해 그의 공헌과 업적에 감사의 뜻을 표현했다. 학교는 4주 동안 학습지와 역할극 등을 통해 심화 학습을 이어갈 계획이다.
한편, 다솜한국학교는 이번 학기 ‘인물로 배우는 한국 역사’ 시리즈를 통해 헐버트 박사에 이어 새미리 박사, 안중근 의사, 최재형 지사 등 나라와 공동체를 위해 헌신한 인물들을 차례로 공부할 예정이다. 학교 측은 “이번 교육 과정을 통해 학생들이 한국과 미국, 더 나아가 세계 속에서 바르고 정의로운 세계시민으로 성장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훈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