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든 미스터리'…최고 의료기술 두고 왜 몰랐나
전립선암 10% 전이 후 발견
대선 탓에 숨겼나 논란 지속
조 바이든<사진> 전 대통령이 퇴임 직후 뼈까지 전이된 전립선암을 발견했다는 발표를 두고 의문이 끊이지 않고 있다. 바이든 전 대통령 측이 재임 중 건강 상태를 미리 알고도 재선을 위해 숨긴 것 아니냐는 의혹이 크다. 물론, 일반적으로 70대 후반부터 전립선암 검사를 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충분히 가능한 사례라는 반론도 있다.
공화당 위원이 다수인 하원 감독 및 정부개혁위원회는 바이든 행정부의 백악관이 당시 대통령의 건강에 대한 부정적인 정보를 은폐한 것은 아닌지 조사 중이라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20일 전했다.
위원회는 당시 대통령 주치의에 대한 면담 조사를 추진하고, 당시 대통령 참모진도 불러 증언을 요구하겠다는 방침이다.
조사가 추진된 배경에는 바이든 전 대통령의 재임 기간 건강에 대한 깊은 의구심이 깔려 있다. 바이든 전 대통령은 역대 최고령 미국 대통령직에 도전하는 과정에서 대통령직을 수행할 만한 건강 상태인지를 두고 여러 차례 논란에 휩싸였다.
도널드 트럼프 당시 대통령 후보와 대선토론을 망친 이후 불거진 인지능력 논란이 대표적이다. 이 일이 결정적 계기가 돼 그는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에게 후보직을 물려줘야 했다.
바이든 전 대통령은 장남을 암으로 잃은 후 암에 대한 개인적 관심도 매우 컸다. 세계 최고 수준의 의료 시스템에 누구보다 먼저 손쉽게 접근할 수도 있는 미국의 대통령이 뼈에 전이될 때까지 암 발병 사실을 몰랐다는 해명에 쉽게 수긍이 가지 않는 면도 있다.
그러나 다소 특이할 수는 있어도 충분히 가능한 사례라는 전문가들의 시각도 있다. 무엇보다 전체 전립선암 가운데 10%는 전이가 진행된 상태에서 발견된다고 WSJ은 전했다.
전립선암은 혈액검사에서 '전립선특이항원(PSA)' 농도를 살펴보면 발병 가능성을 쉽게 포착할 수 있다. 전립선암의 증상으로 꼽히는 배뇨 장애, 혈뇨 등은 암이 상당히 진전돼야 느껴지기 시작한다. 바이든 전 대통령의 전립선암은 가장 공격적인 형태로, 전이와 확산이 매우 빨랐을 가능성이 있다고 WSJ은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