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서울 오피스 공실률 3%대… 2년9개월만에 최고치


홈 > 로컬뉴스 > 로컬뉴스 > 부동산
로컬뉴스

2월 서울 오피스 공실률 3%대… 2년9개월만에 최고치

웹마스터

강남권역이 3.4%로 가장 높아

종로·광화문권역 중형빌딩 5.32%


서울의 오피스빌딩 공실률이 지난 2월 3%를 넘어서며 2년9개월만에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경기 불황과 임대료 상승이 맞물리며 최근 주요 업무 권역에서 임차인들이 외곽으로 사무실을 옮기거나 면적을 줄이는 경향이 나타난다고 업계 관계자들은 전했다. 

10일 부동산플래닛이 발표한 2월 서울 오피스 임대 시장 동향보고서에 따르면 서울 오피스빌딩의 평균 공실률은 3.06%로, 전월(2.83%)보다 0.23%포인트 오른 것은 물론 전년 동기(2.27%) 대비 0.79%포인트 상승했다. 서울 오피스 공실률이 3%를 넘은 것은 2022년 5월 이래 처음이다.

2월 서울의 주요 오피스 권역별 공실률을 보면 강남권역(GBD)이 3.4%로 가장 높았으며 종로와 광화문을 포함하는 도심권역(CBD)은 3.04%였다. 여의도권역(YBD)은 2.41%로 나타났다. 특히 GBD의 공실률은 작년 2월 1.72%였으나 1년 새 2배 상승했다. YBD도 전년 동월(1.4%) 대비 1%포인트 이상 올랐다.

GBD 내에서도 중형빌딩(2000평 이상~5000평 미만)의 공실률이 4.44%로 가장 높았다. 중대형빌딩(5000평 이상~1만평 미만)의 공실률도 4.19%로 4%를 웃돌았으며 소형빌딩(2000평 미만)이 3.49%로 그 뒤를 이었다.

프리미엄 빌딩(2만평 이상)과 대형빌딩(1만평~2만평)의 공실률은 각각 1.44%, 1.96%로 상대적으로 낮았다.

CBD 내에선 중형빌딩의 공실률이 5.32%로 가장 높았고, 소형빌딩도 5.19%로 5%를 웃돌았다. YBD에선 소형빌딩 공실률이 3.85%로 가장 높았으며 중대형빌딩(3.15%), 중형빌딩(3.15%) 순으로 뒤따랐다.

최근 주요 오피스 권역에서 스타트업을 중심으로 사무실을 다른 지역으로 옮기거나 면적을 줄이는 경향이 나타나면서 공실률이 오르는 추세라고 상업용 부동산 업계 관계자들은 전했다.

한 오피스 임대차 시장 관계자는 "최근 들어 강남권에서 IT분야 스타트업들이 문을 닫거나 임대료가 더 낮은 지역이나 건물로 옮기는 경향이 있다"며 "경기 침체 영향이 서서히 나타나는 것 같다"고 말했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오피스 시장에 프리미엄화가 가속화하며 프리미엄이나 대형 빌딩으로 수요가 쏠리고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잘나가는 회사들은 더 크고 고급화된 건물을 찾고, 경영이 어려운 회사들은 아예 더 싼 지역이나 소형 건물을 찾으면서 중간 규모 오피스에서 공실이 나타나고 있다"고 말했다.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