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정부, 25% 관세 적용 차량부품 확대 전망


홈 > 로컬뉴스 > 로컬뉴스 > 경제
로컬뉴스

트럼프 정부, 25% 관세 적용 차량부품 확대 전망

웹마스터


"7월 1일부터 업계의 의견받아 

60일 내로 관세부과 결정할 것"


연방 상무부가 25% 관세를 적용받는 자동차 부품의 종류를 늘릴 전망이다. 상무부 산하 국제무역청(ITA)은 지난 24일 미국으로 수입할 때 '무역확장법 232조'에 근거한 25% 관세를 내야 하는 자동차 부품의 범주에 새로운 부품을 추가할 수 있는 절차를 마련했다고 발표했다.


이에 따라 자동차 부품 생산업체들은 오는 7월 1일부터 상무부에 관세부과를 원하는 부품에 대해 의견을 제시할 수 있다. 상무부는 앞으로 매년 1월, 4월, 7월 10월에 업계의 요청을 접수할 방침이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3월 26일 포고문을 통해 자동차와 자동차 부품에 대한 25% 관세부과 계획을 발표할 당시 관세대상 부품을 추가할 수 있는 절차를 마련하라고 상무부에 지시했다.


상무부는 미국의 생산업체나 관련 협회가 특정 부품에도 관세를 부과해 달라고 요청하면 60일 내로 부과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


자동차 부품에는 지난 5월 3일부터 25% 관세가 기존 관세에 추가로 부과되고 있으며 현재는 엔진, 변속기, 파워트레인 부품, 전자부품 등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b80307bed379ac5ba04b4b864be65599_1751049734_1147.jpg
상무부가 관세 대상 자동차 부품 종류를 확대하면 미국으로 부품을 수출하는 업체와 수입 부품을 이용해 미국에서 자동차를 조립하는 업체들의 비용 부담이 가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한국의 자동차 부품업계에도 타격이 예상된다.


철강 관세의 경우 상무부가 지난 12일 50% 철강 관세 부과 대상이 되는 철강 파생제품 명단에 냉장고, 건조기, 세탁기 등 가전을 추가하면서 삼성전자와 LG전자 등 미국으로 가전을 수출하는 업체들도 관세 영향을 받게 됐다.


이는 미국 업체들이 가전제품에 사용된 철강에도 철강 관세를 부과해달라고 상무부에 요청한 데 따른 결정이었다.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