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킨백' 사자마자 되팔면 가격 2배

홈 > 로컬뉴스 > 로컬뉴스 > 경제
로컬뉴스

'버킨백' 사자마자 되팔면 가격 2배

웹마스터

고가에 희소성 높아 사기도 어려워

판매직원과 친해지려 뇌물 공여도


럭셔리 브랜드 에르메스의 유명 가방인 '버킨백'<사진>을 둘러싼 일반적이지 않은 경제법칙이 고객과 매장 직원 간의 일반적인 권력관계를 뒤집어 놓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이 23일 소개했다.


보도에 따르면 버킨백의 기본모델인 검은색 '버킨 25' 백의 매장가격은 세전 1만1400달러지만, 구매자는 이 백을 구입하자마자 곧바로 2배가 넘는 2만3000달러에 리셀러 업체에 넘길 수 있다. 


프리베포터 등 주요 리셀러 업체는 가방을 매입하자마자 거의 곧바로 사회관계망서비스(SNS)나 라스베이거스의 팝업 매장을 통해 3만2000달러에 판매한다.


이 같은 현상이 벌어지는 것은 희소한 버킨백을 손에 넣고 싶어하는 부유층이 워낙 많은 탓에 돈 많은 쇼핑객이라 할지라도 매장에서 버킨백을 손에 넣기란 매우 복잡하고 어렵기 때문이다.


우선 버킨백을 구매하려는 고객은 먼저 매장의 판매 직원과 좋은 관계를 쌓아야 한다. 수많은 대기자 명단 중 누구에게 버킨백을 판매할지를 일차적으로 담당 점원이 결정하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에르메스 매장에서 상대에게 먼저 깍듯한 인사를 건네는 것은 직원이 아닌 구매자이며 세계에서 손꼽힐 만한 갑부 고객이 직원과 친해지기 위해 집에서 직접 구운 쿠키를 가져오기도 한다고 WSJ은 전했다. 


일부 고객은 버킨백을 손에 넣기 위해 값비싼 비욘세 콘서트 티켓이나 호화 여행 상품권을 주거나 아예 현금 봉투를 건네는 경우도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버킨백을 정식 판매장에서 빨리 구매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는 에르메스에서 판매하는 값비싼 보석이나 가구 등에 막대한 돈을 지출하는 것이라고 명품가방 리셀러업체 '매디슨 애비뉴 쿠튀르'의 주디 테일러 창업자는 말했다. 


판매가 이뤄지는 방식은 다음과 같다. 버킨백이 프랑스 본사에서 개별 매장에 도착하면 매니저는 개별 판매직원에게 가방을 배정하고, 각 직원은 저마다 관리하는 대기고객 명단 중 '구매 자격'을 갖춘 고객을 선별해 매니저의 판매승인을 받는다.


구매자는 한 해 버킨백을 2개까지만 살 수 있는데 지난해 이애미 에르메스 점포의 한 직원은 한 고객에게 그보다 많은 버킨백을 판매했다가 해고되는 일이 벌어지기도 했다고 WSJ은 소식통을 인용해 전했다.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