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 긴급대책에도 지역은행들 불안


홈 > 로컬뉴스 > 로컬뉴스 > 경제
로컬뉴스

금융당국 긴급대책에도 지역은행들 불안

웹마스터

퍼스트리퍼블릭 주가 장중 70% ↓

"한인은행들 당장 영향 없지만…" 


금융 시스템을 지키기 위한 연방정부의 긴급대책에도 불구하고 실리콘밸리은행(SVB)의 초고속 붕괴로 촉발된 위기감이 중소규모 지역은행들까지 불안하게 하고 있다.  


13일 뉴욕증시 개장 전 시간 외 거래에서 위기설이 도는 퍼스트리퍼블릭 은행 주가는 오전 9시20분 현재 66% 폭락한 채 거래됐다. 시간 외 거래 중 낙폭은 최대 70%를 넘었다. 같은 시간 대에 팩웨스트뱅코프도 40% 가까이 폭락했고, 자이언 뱅코퍼레이션은 29%, 코메리카은행은 23% 각각 떨어졌다. 개장 직후에도 비슷한 폭으로 폭락세를 이어가자 이들 은행주식은 모두 거래 중지됐다.


이들 은행은 지역 기반의 중소 규모 금융기관들로 만약 위기가 확산할 경우 SVB와 전날 폐쇄된 뉴욕 시그니처은행의 뒤를 이을 가능성이 있는 '후보'들로 지목돼 왔다.


특히, 샌프란시스코 기반의 퍼스트리퍼블릭은 SVB와 마찬가지로 실리콘밸리의 기술기업들이 주요 고객이어서 예금보호 상한선(계좌당 25만달러)을 초과하는 예금주들이 많은 것으로 전해졌다.


이 은행은 뱅크런(대규모 인출사태)이 우려되자 전날 연방준비제도(연준)와 JP모건체이스로부터 긴급자금을 조달해 가용 유동성을 700억달러로 늘렸다고 밝혔으나 투자자들의 불안감을 잠재우지는 못했다.


이밖에 재무부와 연준, 연방예금보험공사(FDIC)가 전날 저녁 SVB와 시그니처은행 등에 예금보험 한도를 넘는 예금도 전액 보증하고, 은행들이 손해를 보지 않고 유동성을 마련할 수 있도록 연준에 새로운 대출 프로그램을 도입한다고 발표한 것도 이 은행에는 큰 도움이 되지 못한 모습이다. 


SVB 파산 여파가 단순히 기술기업들과 거래가 많은 은행에만 국한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우려는 한인은행들과 거래가 많은 한인 사업주들의 근심도 키운다. 이들 사업가들은 이번 SVB 사태로 당장 한인은행 거래에 영향을 주지는 않더라도 주가에 영향을 받고 있는 만큼 수시로 휴대폰을 들어 시황을 살피곤 했다. 


한인 김 모씨는 "한인은행들은 자산규모도 크지 않고 조직구성도 큰 은행에 비해 탄탄하지 못해, 한 번 뱅크런 사태가 벌어진다면 겉잡을 수 없는 만큼 우려를 불식시킬 수 있도록 예금주들에게 필요 정보를 제공하는 등의 노력을 할 필요도 있을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0 Comments
게시물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