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역 지연 최대 피해자는 스몰 비즈니스들"


홈 > 로컬뉴스 > 로컬뉴스 > 경제
로컬뉴스

"하역 지연 최대 피해자는 스몰 비즈니스들"

웹마스터

LA와 롱비치항의 물류대란으로 가장 큰 피해를 입는 곳은 소기업들로 나타났다. LA항에 산 같이 쌓여있는 컨테이너들. /AP



LA항만에서 54일간 대기

인상 운임 내고도 못 받아



지난 8월 말 'A킨카'라는 작은 컨테이너선이 홍콩을 떠났다. 50인치 로쿠 스트리밍 TV, 알루미늄 주방용기, 펜더 기타와 캘리포니아의 작은 장난감회사로 갈 체스 세트 등이 실려있었다. 이 선박은 LA 항구 앞바다에 9월 12일 도착했으나, 이를 맞이한 것은 입항 대기 중이던 다른 선박 수십 척이었다.


7일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장장 54일을 기다리다 겨우 화물을 내린 이 화물선의 사례를 통해 세계적 물류 대란의 현장 실태를 조명했다. 하역 대기시간이 일주일 이내인 선박도 있었으며 1∼3주 기다린 배가 가장 많았다. A킨카는 기술적 문제가 없었던 선박 가운데 가장 오래 대기했다.


거대 전자상거래업체 아마존을 포함한 100개 넘는 기업의 화물이 570피트 길이의 이 배에 실려있었다. 큰 기업들은 가용 자원이 많기 때문에 공급망 지연에 대처할 수 있었지만, 컨테이너 한두 개만 기다리던 소기업들은 하역 지연으로 큰 손해를 입었다고 WSJ은 지적했다.


한 소기업은 핼러윈용 부츠가 핼러윈을 넘겨 도착했다. 다른 기업은 조명을 배송하지 못해 대금 25만달러를 받지 못하고 있다. A킨카가 LA항에 도착한 지 1주일이 지난 9월 19일은 LA항이 올해 가장 붐빈 날이었다. 이날 27척이 입항해 하역 작업 중이었고 A킨카 등 73척은 항구 앞바다에서 입항을 기다리고 있었다.


당시 A킨카에 화물이 있던 100개 이상 기업의 대부분은 다른 선박에도 화물이 있었다. A킨카에만 화물이 있던 업체는 장난감회사, 조명회사 등 소기업을 포함한 30여곳이었다. 일부 소기업은 컨테이너 몇 개를 실으려고 천정부지로 치솟은 운임을 지불했지만, 화물이 지연되고 말았다.


임직원이 16명뿐인 작은 완구회사 '존 N. 핸슨'은 A킨카에 컨테이너 2개가 있었다. 컨테이너 하나에는 소형 장난감 가게로 갈 체스와 백개먼 게임 세트 2만6000개가 들었고 다른 하나에는 카지노에서 주문한 미니 슬롯머신 등이 있었다.


이 업체 사장 존 핸슨 3세는 큰 업체들의 경우 물류 대란을 예상하고 제품을 가능한 한 빨리 확보했다며 "소규모 매장이 가장 큰 피해를 볼 것"이라고 말했다. A킨카에 실려 있는 이 회사의 게임 세트는 애초 9월에 소매업체에 도착했어야 했다. 핸슨은 컨테이너당 2만7000달러를 지불했는데 이는 1년 전의 10배에 이르는 가격이다.


이 회사는 올해 2차례에 걸쳐 제품 가격을 10% 올렸지만, 비용 상승을 감당하기에는 부족하다. 결국 이 회사는 11월 말에야 체스와 백개먼 게임을 받았다. 하지만 미니 슬롯머신 등이 실려 있는 컨테이너는 이달 초까지도 항만에 묶여있어 추가 비용이 발생하고 있다.


이달 6일 기준 LA항과 롱비치 항구 주변에서 자리가 나기를 기다리는 컨테이너선은 94척에 이르렀다.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