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주간전망(15~19일)] 연방 부채한도 협상과 경제지표 주목


홈 > 로컬뉴스 > 로컬뉴스 > 경제
로컬뉴스

[뉴욕증시 주간전망(15~19일)] 연방 부채한도 협상과 경제지표 주목

웹마스터

연준 당국자 발언도 지수변동의 '열쇠'


이번 주(15~19일) 뉴욕증시는 정치권의 부채한도 협상과 소매판매 등 경제지표 등에 조심스러운 행보를 할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 12일 뉴욕 3대 지수는 모두 소폭 하락세로 장을 마쳤다. 시장의 불확실성이 커진 가운데, 시장을 움직일 촉매제가 부족해지면서 지수는 지지부진한 흐름을 벗어나지 못했다.


다우존스지수는 지난 한 주간 1.11% 하락했으며, S&P500지수는 0.29% 떨어졌다. 나스닥지수는 0.40% 올라 지수별로 엇갈린 모습을 보였다. 등락률도 크지 않았다.


S&P500지수는 4000~4200 사이 박스권에서 정체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시장에 혼재된 재료들이 명확한 길을 보여주지 않으면서 투자자들이 포지션을 정하길 꺼리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지역 은행권의 불안은 시장을 뒤흔들 악재는 되지 않더라도, 위기가 끝나지 않았다는 불안감으로 시장을 계속 압박하고 있다. 팩웨스트은행이 5월 한 주간 예금이 9% 이상 줄었다고 밝혔다는 소식에 주가가 하루 만에 20% 이상 폭락했다. 


조 바이든 대통령과 공화당 지도부의 부채한도 협상이 교착상태에 있는 점도 불확실성을 키우는 요인이다. 


바이든 대통령은 주초에 의회 지도부와 2차 협상에 나선다. 이는 당초 12일에 열릴 예정이었으나 연기된 상태다. 바이든 대통령이 17일부터 3일 간 G7 정상회의가 열리는 일본을 시작으로 3개국 순방에 나설 예정이라 협상에 진전이 있다면 주초인 15~16일에 결과가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의회예산국(CBO)은 지난 12일 업데이트된 보고서를 통해 부채한도가 변경되지 않으면, 6월 초순 디폴트(채무불이행)에 빠질 우려가 크다.


부채한도 협상이 지지부진할 경우 불확실성만 키워 경기를 더욱 위축시킬 수 있다. 경기 침체 가능성이 커질수록 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는 높아지겠지만, 아직 증시가 침체 위험을 가격에 반영하지 않고 있다는 점에서 증시 압박은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주에 주목할 경제지표로는 소매판매가 있다. 미국의 소비는 국내총생산(GDP)의 3분의 2를 차지한다는 점에서 경기둔화 정도를 가늠해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월스트리트저널에 따르면 이코노미스트들은 4월 소매판매가 0.8% 증가하며 전달의 1% 감소에서 증가세로 돌아섰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을 비롯해 존 윌리엄스 뉴욕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 연준 부의장으로 지명된 필립 제퍼슨 연준 이사 등의 예정된 발언도 주목된다. 이들이 최근에 발표된 물가와 고용 지표에 대해 어떤 평가를 내리느냐에 따라, 6월 통화정책회의에서 금리정책에 변화를 줄 수 있기 때문이다. 


김문호 기자 mkim@chosundaily.com




0 Comments
게시물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