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테크 인력들 재택근무 못하자 회사 떠난다"

홈 > 로컬뉴스 > 로컬뉴스
로컬뉴스

"빅테크 인력들 재택근무 못하자 회사 떠난다"

웹마스터

시카고대· 미시간대 연구팀 분석  

MS·애플·스페이스X, 4~15% 이직 


빅테크 기업들이 코로나19 팬데믹 시기 실시했던 재택근무를 종료하고 직원들에게 사무실 복귀를 의무화하자 고급인력들이 대거 회사를 떠났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워싱턴포스트(WP)가 12일 전한 바에 따르면 시카고대와 미시간대 연구팀이 인력정보회사 '피플 데이터 랩스'에 등록된 이력서 정보를 분석한 결과 마이크로소프트(MS)와 애플, 스페이스X에서 2022년 직원들에게 사무실 복귀를 의무화한 이후 전체 직원 대비 고위직 직원들이 차지하는 비율이 최소 4%에서 최대 15%까지 감소했다.


고위직 직원 비율이 가장 많은 줄어든 회사는 세 회사 중에서 유일하게 100% 대면 근무를 요구한 스페이스X로, 15%의 감소율을 기록했다. MS에서는 고위직 직원 비율이 5% 줄었고, 애플은 4% 감소했다. 세 회사를 떠난 고위직 직원 중 많은 이들은 경쟁사로 이직한 것으로 드러났다.


연구 저자 중 한 명인 오스틴 라이트 시카고대 공공정책과 조교수는 "주요 테크기업들에서 사무실 복귀 정책에 영향을 받은 숙련된 직원들이 다른 일자리를 찾으면서, 가장 귀중한 인적자본 투자의 일부분과 생산성 도구를 가지고 갔음을 발견했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에서 다룬 MS와 애플, 스페이스X는 2022년 미국 빅테크 중 가장 앞장서서 팬데믹 시기의 재택근무를 종료하고 사무실 복귀를 시작한 기업들이다.


연구 저자들은 세 회사의 기업문화와 사무실 복귀를 실시한 구체적인 방식은 다르지만, 사무실 복귀 의무화 이후 비슷한 변화가 발생했다는 사실은 "이러한 변화들이 공통의 변수에 의해 발생한 것"임을 시사한다고 짚었다.


저자 중 한 명인 데이비드 반 다이크 미시간대 연구원은 "우리 연구 결과는 사무실 복귀 의무화 정책이 회사에서 예상한 것보다 더 큰 비용을 치르게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며 "이 (고위직 직원 비율) 감소율은 쉽게 관리할 수 있는 정도가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해 로버트 폴리하트 사우스캐롤라이나대 경영학 교수는 사무실 복귀를 주장하는 임원들이 대면 근무가 더 이롭다는 구체적 근거를 제시하지 못하고 있으며, 재택과 대면 혼합형 근무 방식이 생산성 저하로 이어진 현상도 아직 관측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폴리하트 교수는 "위에 앉아있는 이들은 (재택근무를 할 때) 회사가 돌아가는 방식이 마음에 들지 않을 수는 있지만, 구체적인 근거를 가져오지 못한다면 사무실에 더 자주 들어와야 한다고 사람들을 설득하는 것은 매우 어려울 것"이라고 WP에 말했다.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