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멧갈라' 패션쇼할 때냐… 가자 참상 침묵 셀럽들 '수난'


홈 > 로컬뉴스 > 로컬뉴스
로컬뉴스

'멧갈라' 패션쇼할 때냐… 가자 참상 침묵 셀럽들 '수난'

웹마스터

패션모델 지지 하디드가 지난 6일 열린 멧갈라에 참석하고 있다. /AP


'디지털 단두대' 캠페인 확산

젠데이아, 비버 등 계정 차단


수많은 팔레스타인 민간인이 숨지거나 삶의 터전을 잃은 가자 전쟁의 불똥이 미국 연예계로까지 번졌다.

NBC 방송은 13일 "소셜미디어 이용자들이 가자 지구에서 벌어진 참상에 침묵을 지키고 있는 유명인들의 계정 차단을 촉구하는 캠페인을 벌이면서 수백명의 스타들이 '디지털 단두대(digital guillotine)’에 올랐다"고 보도했다.


대상에는 팝스타인 셀레나 고메즈, 드레이크, 저스틴 비버와 유명 배우 젠데이아, 리얼리티 TV쇼로 유명한 카다시안 가족 등이 포함돼 있다. 절정의 인기를 누리고 있는 가수 테일러 스위프트 같은 스타의 오랜 팬들조차 유명인들의 계정을 차단하기로 결정했다고 발표했다.


이들 유명인에 대한 반감은 이스라엘의 가자 남부 도시 라파에 대한 군사공격 계획이 발표된 시점과 미국 최대 패션쇼인 '멧 갈라' 개최 시기가 겹치면서 더욱 커졌다. 멧 갈라 후 1000만명을 넘겼던 칼릴의 팔로워는 990만명으로 줄었다. 소셜미디어 분석업체인 소셜블레이드의 분석에 따르면 차단 목록에 오른 많은 유명인은 '디지털 단두대' 운동이 시작된 이후 하루 평균 수만명에서 수십만명의 팔로워를 잃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유명인을 상대로 한 디지털 단두대 운동이 적절한지에 대한 논란도 있다.

우선 멧 갈라 참석자를 중심으로 작성된 계정 차단 목록이 문제가 되고 있다. 온라인에서는 멧 갈라에 초대받은 유명인들이 참석 비용으로 7만5000달러를 지불한다는 것이 오해라는 지적이 많고, 레이철 지글러 등 가자 상황에 목소리를 내온 참석자들도 있었다는 비판도 나왔다.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