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7일, 하루 24시간… '90일간 전력질주'


홈 > 로컬뉴스 > 로컬뉴스 > 최신뉴스
로컬뉴스

주 7일, 하루 24시간… '90일간 전력질주'

웹마스터

바이든, 물류대란에 특단의 조치 

롱비치 이어 LA항도 24시간 체제

삼성에도 SOS… 외국기업 중 유일



조 바이든 대통령이 LA와 롱비치 등 서부 지역 항만에서 벌어지는 물류 대란을 해소하기 위해 적극적인 대응책을 주문했다. 논의 과정에서 외국 기업 중 유일하게 초청된 삼성을 향해 SOS를 요청하기도 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13일 백악관에서 물류업체와 트럭 노조, 상공회의소 관계자들과 회의를 하고 대응책을 발표했다.


추수감사절과 성탄절이 있는 연말은 최대 쇼핑 시즌이다. 그러나 코로나 팬데믹 여파로 하역 인력이 부족해 '컨테이너겟돈'(컨테이너와 아마겟돈의 합성어)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항만의 물류에 비상이 걸렸다. 특히 미국으로 들어오는 컨테이너 수송의 40%를 차지하는 LA항과 롱비치항의 병목 현상이 심각하다. 동부의 뉴욕항과 조지아주 서배너항도 비슷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지난 6월 교통장관이 이끄는 태스크포스까지 설치했던 백악관은 일단 LA항을 24시간 체제로 연장 운영하는 안을 마련했다. 물류대란 발생 후 롱비치항이 이미 3주 전부터 부분적으로 24시간 운영에 들어간 데 이어 LA항도 같은 비상 체제에 돌입하는 것이다.


또 월마트, 페덱스, UPS 등 대형 유통 및 수송업체도 미 전역의 상품 운송 속도를 높이기 위해 24시간 운영에 들어가기로 했다. 전자제품 생산업체인 삼성전자, 대형 쇼핑센터를 운영하는 홈디포, 타깃도 물류 대란 해소를 위해 근무시간을 늘리기로 했다는 것이 백악관 당국자의 설명이다. 당국자는 이런 노력을 '90일간 전력질주'라고 표현했다고 워싱턴포스트는 전했다.


다만 워싱턴포스트는 롱비치항이 현재 6개 터미널 중 한 곳만 주 4회 24시간 운영되는 실정이라면서 LA항도 얼마나 많은 터미널이 24시간 체제에 들어갈지 알 수 없다는 우려도 전했다.


특히 이 자리에서 바이든 대통령은 최대 유통·물류 기업인 월마트와 페덱스, UPS 등이 운영 시간을 늘려 물류 대란에 대응키로 했다면서 “타겟, 홈디포, 삼성도 근무 시간을 늘리기로 했다”며 “민간 부문이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미국 대표 기업들과 함께 ‘삼성’을 거론하면서, 그는 특별히 한국 기업이라든가 하는 부연 설명도 하지 않았다. 그만큼 미국내 소비시장과 물류에서 삼성 제품이나 삼성 브랜드 이미지는 따로 설명할 필요가 없다는 얘기다.


바이든 대통령이 물류대란에 적극 관심을 기울이는 것은 경제적, 정치적 타격을 받을 수 있다는 우려와 무관치 않다. 전염병 대유행 사태 이후 심각해진 공급난을 가중하고 물가 상승 압력으로 작용하며 경기 회복세에 부담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또 코로나19 재유행, 아프가니스탄 철군의 대혼란으로 가뜩이나 지지율이 곤두박질치는 상황에서 정치적 악재로 작용할 수 있다.


로이터는 "공급 위기는 부분적으로 전염병 대유행으로 인해 촉발됐다"면서 "이는 중요한 시기에 미국의 소비를 약화할 위협일 뿐만 아니라 바이든 대통령에게 정치적 위험이 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백종인·정시행 기자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