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총영사관 재건축 “내년부터 본격화”


홈 > 로컬뉴스 > 로컬뉴스 > 사회
로컬뉴스

LA총영사관 재건축 “내년부터 본격화”

웹마스터

김영완 총영사가 공관 재건축 추진 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백종인 기자



한국 정부 기금운용 예산 25억원 배정

타당성 검토 면제… 국회 통과 낙관

“현재 부지 원칙, 한인사회 의견수렴

김영완 LA총영사 기자 간담회서 밝혀 



“LA총영사관 재건축을 위한 예산 운용 기금이 25억원으로 배정됐다. 예비 타당성 조사도 면제돼 연말까지 국회를 통과하면 동포사회의 오랜 숙원사업이 본격적으로 첫 걸음을 내딛게 된다.”


김영완 LA총영사가 7일 공관 5층 회의실에서 기자 간담회를 열고, 총영사관 재건축을 위한 청사진을 제시했다. 김 총영사는 “기획재정부(기재부)가 정부 예산안으로 공관 재건축을 위한 운용기금 25억원을 배정했다. 큰 변수만 없다면 국회 통과가 기대된다”고 밝혔다. 25억원은 이를 테면 설계에 드는 비용으로 설명했다.


LA총영사관은 재건축을 위한 총 사업비로 수용인원, 수요조사, 공간 규모 등의 기준을 토대로 882억원을 추산해 제출했다. 이 사업을 추진하기 위한 초기 운용기금으로 25억원이 내년 예산에 반영된다는 뜻이다. 김 총영사는 “국회 예산결산위원회 심의 과정이 남아있기는 하지만 특별한 변동은 없을 것으로 예상한다”며 “진행이 시작되면 설계가 어떻게 나오느냐에 따라 여러가지 사항이 구체화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일반적으로 정부 예산이 500억원 이상 들어가는 사업에 대해서는 예비 타당성 조사가 필요하지만, 현지 특성을 고려해 기재부가 이를 면제시켰다. 김 총영사는 “(2012년) LA부총영사를 지낸 방기선 기재부 1차관이 이곳 사정을 워낙 잘 알고 시급성을 이해하고 있어서 측면에서 지원을 많이 해줬다. 덕분에 진행이 빨라진 셈”이라고 덧붙였다.


김 총영사는 “현재의 공관 부지는 한국 정부 재산이다. 재건축은 이곳에서 이뤄지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며 “사무 공간뿐 아니라 한국적인 것을 살리고, 동포사회의 중심이 되는 곳으로 만들어야 한다는 생각”이라고 말했다. 김 총영사는 이어 “일단 설계가 나와봐야 하지만 국회와 협의 과정을 거쳐야 구체적인 방안이 나올 수 있을 것이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동포 사회의 의견이다. 각계의 다양한 말씀에 귀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1956년에 지어진 LA총영사관 건물은 1988년 한국 정부가 매입해 공관으로 쓰기 시작했다. 오래 되고, 협소한 탓에 민원인들이 불편을 겪어 재건축 필요성이 수년 전부터 제기됐다. 올 5월에는 외교부 실사단이 파견돼 현장 점검을 하고 돌아가기도 했다.


김 총영사는 단적으로 민원 전화 응대의 한계를 설명하며 재건축의 중요함을 역설했다. ‘총영사관 통화가 너무 어렵다’는 지적에 대해 “부임 초부터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각도로 연구하고 검토했다. 다른 지역 공관의 사례도 모두 알아봤지만, 사정이 대부분 비슷했다”며 “인원이나 시스템 문제인데, 결국 예산으로 귀결된다. 아마도 재건축을 하게 되면 이 문제도 개선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백종인 기자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