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게 이렇지요] 햄버거는 몽골제국의 군사 식량이었다


홈 > 로컬뉴스 > 로컬뉴스
로컬뉴스

[그게 이렇지요] 햄버거는 몽골제국의 군사 식량이었다

웹마스터


요즘 젊은이들의 입맛은 서구화 돼서 한 끼 식사로 햄버거를 즐겨 먹는다. 햄버거뿐 아니라 피자나 스파게티 가게를 서울 어디서도 볼 수 있다. 해외여행이 일상화되었고 문화 교류가 빈번해지면서 식생활에도 큰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1970년대만 해도 우리나라 낙농산업은 겨우 걸음마 단계에 있었고 라디오와 텔레비전에서는 우유 마시기 캠페인이 벌어지고 있었다. 우유에 설탕이나 소금을 타서 마시라고 권고하던 시절이었다. 얼마 전 용산역 아이파크 몰에도 대형 햄버거 집이 생겼다고 해서 젊은이들이 몰려가고 있다. 매장이 얼마나 큰지 300명은 족히 수용할 규모인데 covid-19 창궐과 폭염 속에서도 내장객이 가득하다. 상호도 별나서 셰이크 쉑이다.


햄버거 가게는 수없이 많다. 맥도날드, 버거킹, 웬디스, In&Out, Subway, 로이 로저스 등 모두 세계적인 체인점이다. 그러나 한국에 상륙한 대부분의 브랜드가 맥을 못추고 있는데 유독 이름도 생소한 이 가게만은 문전성시다. 셰이크 쉑은 좋은 재료를 쓰는데다, 미국에선 맥주와 와인을 함께 파는 전략이 주효해서 크게 성공하였다.


1971년 영화배우 남궁원이 명동에 문을 연 빅보이(Big Boy)가 우리나라 최초의 햄버거 집이었다. 남궁원의 부인은 KNA(대한항공의 전신)의 스튜어디스 출신이어서 일찍이 외국의 문물을 접할 기회가 많았다. 부인의 제안으로 미국에서 성업 중이던 햄버거 브랜드를 도입하지 않았나 짐작된다. 그러나 빅보이는 2년도 버티지 못하고 문을 닫는다. 너무 일찍 창업한 탓이다. 순대와 김밥, 떡볶이에 익숙한 우리 입맛에 느끼한 햄버거가 맞을 리 없었다. 또한 대부분 국민들의 호주머니 사정은 햄버거를 사먹을 형편이 되지 못했다. 이 때만 해도 한국은 외국에서 원조받는 가난한 나라였다.


그 뒤 본격적인 햄버거 가게가 생겨난 것은 88서울올림픽을 앞두고서였다. 1988년 봄 강남구 압구정동 갤러리아 백화점 건너편에 맥도날드 1호점이 문을 열자(지금은 사라졌다) 동네사람들이 가게 앞에 긴 줄을 서기도 했다. 아이들과 함께 햄버거를 맛보기 위해 그 속에 필자도 서 있던 기억이 새롭다.


햄버거(hamburger)는 독일의 항구도시 함부르크(Hamburg)에서 나왔다. 함부르크 중심가 알스터(Alster)호수 내호(內湖·비넨알스터) 옆에 햄버거가게의 원조로 알려진 짐 블록(Jim Block)이 있다. 17세기이래 다진 고기를 둥글고 얇게 뭉쳐서 “함부르크 스테이크”란 이름으로 팔다가, 빵에 끼워 먹기 시작하자 “함부르크 스테이크 샌드위치”라고 불렀다. 이후 1800년대 중반 이민자를 따라 미국으로 건너가면서 부르기 쉽게 Hamburg에 er를 붙여 햄버거로 축약되었다. 이때 함부르크 스테이크에는 계란프라이를 얹어 주기도 하였다(옛날 우리나라 ‘함박’ 스테이크에도 계란프라이가 함께 나왔다). 1847년 함부르크 - 아메리칸 라인의 취항으로 선원들이 햄버거를 즐겨 먹자 세계 곳곳으로 퍼져나갔다. 함부르크란 도시 이름은 서기 825년 무렵 구축된 하마부르크성(城)에서 유래한 것이지 햄(ham)과는 전혀 관계가 없다. 햄버거의 첫 음절 ham은 영어로 home이란 뜻이고 burg는 게르만어로 방어를 목적으로 하는 성(城)이나 군사적 요새를 의미한다. 곧 Hamburg는 요새화한 도시다.


놀라운 것은 이 햄버거가 독일이나 미국이 원조가 아니라는 사실이다. 햄버거는 아시아의 몽골제국에서 시작되었다. 멀리 원정을 다니던 몽골군사들은 말고기에 채소와 소금을 넣어 다져서 말안장에 깔아두고 다니면서 먹었다. 이 타르타르 스테이크가 유럽에 전해진 뒤 다시 미국으로 건너와서 오늘날과 같은 햄버거가 탄생했다. 음식의 세계에는 국경도 없고 비자도 없다.


fea6f57679a202beb0631d1194e88aab_1628707800_131.jpg

김우룡 칼럼니스트는: 중앙고, 고려대 영문과, 서울대 신문대학원을 졸업했다. 뉴욕 컬럼비아대 언론대학원을 수료했고, 고려대 대학원에서 언론학 박사를 받았다. UC버클리 교환교수, 한국방송학회 회장을 지냈다. 한양대 언론정보대학원 석좌교수, 차관급인 제3기 방송위원, MBC 방송문화진흥회 이사장을 역임했다.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