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가 레깅스는 '불티', 저가 할인점은 '한산'


홈 > 로컬뉴스 > 로컬뉴스 > 경제
로컬뉴스

고가 레깅스는 '불티', 저가 할인점은 '한산'

웹마스터

뉴욕에 있는 룰루레몬 매장(위)과 오클라호마의 달러제너럴 매장.   AP

룰루레몬과 달러트리 '희비'

빈부간 소비격차 더욱 커져 


고가 운동복을 판매하는 룰루레몬(Lululemon)이 호실적을 낸 반면, '달러숍'으로 불리는 저가 할인점 달러제너럴(Dollar General)의 실적은 하락세를 보여, 계층 간 소비격차가 커지는 양상이라고 CNN 지난 3일 전했다. 


개당 100달러나 되는 레깅스와 요가복을 파는 룰루레몬은 지난 2분기 순매출이 작년 동기보다 18% 늘었고, 매출 총이익은 23% 증가했다고 지난달 31일 밝혔다.


캘빈 맥도널드 룰루레몬 CEO는 "우리의 기존고객은 여전히 지갑을 열어 돈을 쓰고 있고, 신규고객도 계속 유입되고 있다"며 올해 하반기 수익 전망치를 높였다.


반면, 같은 날 2분기 실적을 발표한 달러제너럴은 시장의 예상치에 못 미치는 실적을 내놨고, 하반기 매출과 이익 전망치도 전보다 더 낮췄다. 


달러제너럴은 '1달러 딜' 코너를 비롯해 각종 제품을 저렴한 가격에 판매하는 할인점 체인. 미국과 멕시코에서 1만8000여 매장을 운영하고 있다.


제프 오언 달러제너럴 CEO는 최근 소비자 지출이 줄어든 데다 도난 피해가 늘어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밝혔다.


시장분석업체 글로벌데이터의 닐 손더스는 "일시적이었던 팬데믹(코로나19) 지원금 혜택이 사라지면서 저소득층의 상황이 악화했다"며 "저소득층 소비자들은 돈을 아끼기 위해 필수적이지 않은 품목의 구매를 줄이고 있다"고 CNN에 설명했다. 


달러제너럴과 비슷한 할인점 체인점인 '달러트리' 역시 지난달 실적 발표에서 "고객들이 몇 년간의 지출 확대 이후 쇼핑 패턴을 바꾸고 있다"고 전했다.


웰스파고의 경제 전문가 섀넌 시리는 미국의 저소득 가구가 경제적으로 압박을 받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역사적으로 저소득 가구는 인플레이션의 영향을 많이 받아왔다"며 "식료품과 에너지 같은 것들이 그들의 가계 예산에서 더 큰 비중을 차지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지난 7월 물가지표로 쓰이는 미국의 개인소비지출(PCE) 지수는 작년 동월 대비 3.3% 상승했다. 이는 연방준비제도(연준)의 목표치인 2%를 크게 상회하는 수치다.



0 Comments
게시물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