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 실수요자들 "내집 마련 정말 힘들어"


홈 > 로컬뉴스 > 로컬뉴스 > 경제
로컬뉴스

주택 실수요자들 "내집 마련 정말 힘들어"

웹마스터

고금리 속 매물마저 크게 부족 

"내년 7월까지 6.5% 상승 전망"


모기지(주택담보대출) 금리가 수십 년 만에 최고 수준으로 급등했지만, 매물 부족으로 인해 집값이 앞으로 더 오를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28일 폭스비즈니스에 따르면 부동산 중개사이트 질로우의 이코노미스트들은 미국의 주택가격이 올해 7월부터 내년 7월 사이 1년여 동안 6.5% 상승할 것으로 이날 전망했다.


이는 S&P 코어로직 케이스-실러 주택가격지수가 집계한 일반적인 연평균 집값 상승률 5.2%를 뛰어넘는 수준이다.


지난달 거래된 기존주택 중위가격의 경우 40만6700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1.9% 상승한 상태다.


질로우의 이코노미스트들은 모기지 금리가 계속 상승하고 있음에도 제한된 판매 재고와 예상보다 강한 수요 경쟁으로 인해 주택가격이 오르고 있다고 밝혔다.


폭스비즈니스는 "(소비자의) 주택구입 능력은 수십 년 사이 최저 수준이지만 문제는 더 악화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실제로 모기지 금리는 3년 전보다 거의 두 배나 오른 상태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지난 24일 30년 고정 모기지 금리가 평균 7.23%로 2001년 이후 22년 만에 최고치로 뛰어올랐다고 보도하기도 했다.


모기지 금리는 역시 22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인 기준금리(연 5.25∼5.50%)에 따라 계속해서 올랐다.


이런 가운데 매물로 나오는 주택은 매우 부족한 상황이다.


이는 팬데믹 이전에 낮은 모기지 이율을 확보했던 이들이 주택 매도를 꺼리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기존 주택을 팔고 새 주택을 구하려면 고금리의 모기지 상품을 새롭게 이용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지난달 말 시장에 나와 있는 주택 수는 작년 같은 기간보다 9%, 팬데믹 이전보다 46%나 줄었다.


더 큰 문제는 건축업자들이 새 주택을 시장에 내놓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리고 있다는 점이다. 많은 주택이 여전히 건설 중인 상태다.


주택 거래는 급감했다. 부동산중개인협회(NAR)에 따르면 지난달 기존주택 매매 건수가 전월 대비 2.2% 감소한 407만 건(연율 기준)으로 집계됐다.


이는 올해 1월 이후 가장 낮은 매매 건수이며, 주택거래 성수기인 7월 기준으로는 2010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0 Comments
게시물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