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경제 '3중고'… 인플레·성장둔화에 불확실성까지


홈 > 로컬뉴스 > 로컬뉴스
로컬뉴스

세계경제 '3중고'… 인플레·성장둔화에 불확실성까지

웹마스터

고유가로 미국 경제성장률 하향조정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세계경제가 인플레이션 악화, 경제성장 둔화, 불확실성 증폭이라는 '3중고'에 시달릴 처지에 놓였다.


벌써 미국경제와 세계경제의 성장률 전망을 낮추는 움직임이 시장에서 나오고 있다.

24일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국제 유가를 비롯해 러시아와 우크라이나가 주로 공급하는 원자재의 가격이 줄줄이 올랐다. 북해 브렌트유는 이날 장중 한때 배럴당 105.75달러까지 치솟아 2014년 이후 처음으로 100달러 고지에 올랐다.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는 전날 배럴당 96달러까지 오르며 올해 들어서만 28% 급등했다. 미국 시장에서 밀 가격도 2012년 7월 이후 최고치까지 올랐고, 알루미늄, 니켈 등의 가격도 강세를 보였다.

이는 러시아 경제 규모가 세계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 자체는 작지만, 원유·천연가스를 비롯한 여러 원자재의 주요 공급국이기 때문이라고 WSJ은 설명했다.


우크라이나 역시 밀, 옥수수 등 곡물의 주산지로, '유럽의 곡창지대'로 불린다. 우크라이나와 러시아는 세계 밀 수출의 30%가량을 담당한다. 이미 세계적인 인플레이션 현상이 두드러진 상황에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양국이 생산하는 원자재의 공급에 차질이 빚어지면 물가는 더 오르고 경제 성장세는 약화할 것으로 우려된다.


이코노미스트들은 유가 상승으로 인해 미국경제가 경기침체에 빠지지는 않겠으나, 성장세는 둔화할 것으로 예상했다. 무디스 애널리틱스의 마크 잔디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유가 100달러 시대가 이어지면 2분기 미국 경제성장률이 0.1%포인트, 3분기엔 0.5%포인트 각각 낮아질 것으로 추정했다.

또한 이 경우 미국의 전체 물가는 0.3%포인트 추가 상승할 것으로 전망했다.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