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통화긴축, 9월 이미 기준금리 5.25% 상응 효과"


홈 > 로컬뉴스 > 로컬뉴스
로컬뉴스

"美 통화긴축, 9월 이미 기준금리 5.25% 상응 효과"

웹마스터

연준 "명목 기준금리보다 2%p 높아"

양적긴축 등 추가조치 영향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양적긴축(QT) 등 다양한 긴축조치를 고려하면 통화긴축 효과가 지난 9월 기준으로 기준금리 5.25%에 상응하는 수준에 이르렀다는 연준 연구진의 추정이 나왔다.


이는 이달 초 기준금리 인상을 반영하면 미국의 실질적인 기준금리 수준이 6%에 달했다는 의미여서 최근 미국에서 힘을 얻는 금리인상 속도 조절론에 미칠 영향이 주목된다.


7일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샌프란시스코 연방준비은행 연구진들은 미국의 통화정책 수준이 공식적인 기준금리만 봤을 때보다 훨씬 긴축적일 가능성이 있다며 이같이 분석했다. 연준은 올해 3월부터 9월까지 0.25%이던 기준금리 상단을 3.25%로 끌어올렸고, 이번 달에도 또다시 금리를 0.75%포인트 올려 4.0%로 만든 상태다.


연구진은 차기 금리향방에 대한 연준의 사전안내(포워드 가이던스)와 대차대조표 축소(양적긴축) 등의 영향을 반영하기 위해 주택담보대출(모기지) 금리와 신용 스프레드 등의 변수를 포함해 대용물(proxy) 금리를 추정했다.


그 결과 9월 발표된 기준금리보다 약 2%포인트 높은 5.25%로 금리 수준이 나왔다는 것이다. 연준은 2020년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경기후퇴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국채·주택저당증권(MBS) 매입을 통해 보유자산을 약 9조달러로 늘리면서 시중에 막대한 유동성을 공급했다가 올해 6월 양적긴축에 돌입했다.


9월부터는 긴축 속도를 끌어올려 매달 국채 600억달러와 MBS 350억달러 등 950억달러의 보유자산에 대해 만기가 도래하면 재투자하지 않는 방식으로 유동성을 줄이고 있다.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