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2일] 셧다운 위기 해소에도 혼조


홈 > 로컬뉴스 > 로컬뉴스 > 경제
로컬뉴스

[뉴욕증시 2일] 셧다운 위기 해소에도 혼조

웹마스터

다우존스지수 0.2% 하락


10월 첫 거래일인 2일 뉴욕증시는 연방정부의 셧다운 위기가 사라졌지만 국채금리 상승세 속에 혼조세를 보였다. 이날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지수는 전장보다 74.15포인트(0.22%) 하락한 3만3433.35로 거래를 마쳤다. &P500지수는 0.34포인트(0.01%) 오른 4288.39, 나스닥지수는 88.45포인트(0.67%) 상승한 1만3307.77로 장을 마감했다. 나스닥지수는 4거래일 연속 올랐다.


투자자들은 셧다운 우려가 일시 해소되자, 다시 국채금리와 경제지표로 관심을 돌렸다. 의회가 연방정부의 내년도 예산처리 시한 종료일인 30일을 몇시간 앞두고 45일간의 임시 예산안을 처리했다. 이에 따라 셧다운 위험은 45일 뒤로 미뤄졌다. 


임시예산안은 오는 11월 17일까지 연방정부 예산을 기존 수준으로 동결하는 내용을 담았으며, 공화당이 반대한 우크라이나 지원 예산은 반영되지 않았다.


정치적 이슈가 일시 소멸하면서 투자자들은 국채금리 상승에 다시 관심을 두기 시작했다. 연준 당국자들의 발언도 긴축 위험을 높였다.


10년물 국채금리는 10bp가량 오른 4.675%에, 2년물 금리도 6bp가량 상승한 5.108%를 나타냈다. 10년물 금리는 또다시 2007년 이후 최고치를 경신했다.


셧다운 위험이 사라지면서 국채 매도세가 강화됐다. 연준의 통화정책과 주 후반에 나올 고용보고서로 투자자들의 관심이 돌아선 데다 불확실성 해소로 추가 긴축 위험이 커졌기 때문이다.


제조업 경기는 위축세를 이어갔으나 직전 달과 예상치보다는 모두 개선됐다. 공급관리협회(ISM)가 집계한 9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는 49.0으로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시장 예상치인 48.0을 웃돌았다. 이날 수치는 전달의 47.6보다 개선돼 3개월 연속 오름세를 보였다. S&P글로벌이 집계한 9월 제조업 PMI는 49.8로 최종 집계돼 예비치인 48.9와 전달 기록한 47.9를 모두 웃돌았다.


자동차 기업들의 3분기 차량 인도 실적도 나왔다. 테슬라는 3분기에 차량 43만5059대를 인도했다. 이는 2분기에 기록한 46만6140대보다 줄어든 수준으로 스트리트어카운트가 집계한 월가 예상치인 46만1640대보다 적은 수준이다. 테슬라 주가는 0.5%가량 올랐다.


리비안의 주가는 회사가 3분기에 차량 1만5564대를 인도해 전 분기보다 23% 늘었다는 소식에도 2.5%가량 하락했다. 리비안의 차량 인도 실적은 팩트셋이 집계한 월가 예상치 1만4000대를 웃돌았다. 엔비디아 주가는 골드만삭스가 엔비디아를 '강력매수' 목록에 올렸다는 소식에 3%가량 올랐다.


뉴욕증시 전문가들은 시장이 높은 금리가 가져올 역풍과 그에 따른 불확실성에 직면해있다고 말했다.


김문호 기자 mkim@chosundaily.com



0 Comments
게시물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