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발 매수세에 힘입어 반등


홈 > 로컬뉴스 > 로컬뉴스
로컬뉴스

반발 매수세에 힘입어 반등

웹마스터

21일 뉴욕증시는 지난주 낙폭이 너무 컸다는 인식이 확산하며 반등했다. /AP


다우지수 1.76% 상승

낙폭 과대인식 확산


뉴욕증시는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긴축 우려가 과도했다는 인식 속에 반등했다.


21일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지수는 전장보다 586.89포인트(1.76%) 오른 3만3876.97으로 장을 마쳤다. S&P500지수는 전장보다 58.34포인트(1.40%) 상승한 4224.79를,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전장보다 111.10포인트(0.79%) 상승한 1만4141.48로 거래를 마감했다. 


지난주 뉴욕증시는 연준이 예상보다 일찍 금리를 올릴 가능성을 시사함에 따라 크게 하락했으나 이 같은 낙폭이 과대했다는 인식이 확산하며 주가를 끌어올린 것으로 풀이된다.


다우지수는 지난주 3% 이상 하락해 상대적으로 낙폭이 컸으며, S&P500지수는 1.9%, 나스닥 지수는 0.3%가량 떨어진 바 있다. 지난 6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대다수 위원은 2023년에 기준금리가 두 차례 인상될 것으로 예상했다.


여기에 연준 내 대표적 비둘기파(통화완화 선호)로 통했던 제임스 불러드 세인트루이스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가 2022년 말까지 금리가 인상될 것으로 예상해 조기 긴축 우려가 더욱 강화됐다. 뉴욕증시 전문가들은 매도세가 과도했다는 인식이 있다고 진단했다.


씨티 인덱스의 피오나 신코타 선임 금융시장 애널리스트는 CNBC에 "연준이 촉발한 매도세가 과도한 것처럼 보였다"라며 "지난주 연준의 갑작스러운 매파적 변화, 즉 2023년에 두 차례 금리를 인상할 것이라는 예상에 시장이 허를 찔린 것"이라고 말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FF) 금리선물 시장은 올해 12월 25bp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을 4.4%로 반영했다.


김문호 기자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