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치는 한국 것, 중국은 아니야"


홈 > 로컬뉴스 > 로컬뉴스
로컬뉴스

"김치는 한국 것, 중국은 아니야"

웹마스터

캘리포니아 나파에 있는 'CIA 앳 코피아'에서 지난 7일 열린 제2회 '김치 쿡오프'에서 1등상을 탄 칼로타 브래들리<사진 위>의 '종김 라이스 스택' 요리. /연합뉴스 



'제2회 김치 쿡-오프' 우승자 칼로타 브래들리

"식당 열어 모든 이에게 김치 맛보게 하고 싶어"


"식당을 열어서 사람들한테 김치를 소개하고 싶다. 김치는 한국 것이라는 걸 알려주고 싶다. 많은 사람이 중국 것으로 생각한다. 모든 이에게 김치를 맛볼 기회를 주고 싶다."


지난 7일 세계적 와인 산지인 캘리포니아 나파에 있는 명문요리학교 'CIA(Culinary Institute of America) 앳 코피아'에서 열린 제2회 김치 쿡오프(cook-off·요리경연대회)에서 1등상을 수상한 칼로타 브래들리는 수상 소감을 이같이 밝혔다.


대상 종가집이 후원하고 CIA와 광고대행사 SF애드가 공동주최해 열린 이 행사는 종가집의 김치 제품을 활용해 창의적이면서도 맛있고 보기에도 아름다운 김치요리를 개발해 선보이는 경연대회다. 올해 행사에는 미 전역에서 320여명이 온라인으로 참가 신청을 했다. 온라인으로 레시피와 요리 사진·동영상 등을 살펴보는 예선을 통과한 8명이 이날 결선에 출전해 김치를 이용한 요리로 솜씨를 겨뤘다.


도미니카공화국 출신인 브래들리는 이날 김치와 볶음밥을 이용해 만들고 금박까지 얹은 '종 김 라이스 스택' 요리로 우승했다. 브래들리는 지금 자신이 사는 콜로라도에서 공부한 한국인 친구를 사귀면서 김치를 알게 됐다고 한다. 서로 집에 오가며 친하게 지냈는데 처음 그 친구 집에 처음 갔을 때 김치와 돼지삼겹살, 상추를 내온 것을 먹어보고는 '와 세상에. 정말 맛있다'고 느끼면서 김치를 접했다. 그는 '김치는 중국 음식'이란 주장에 대해 "김치는 중국어처럼 들리지도 않는다"면서 "이런 행사가 김치가 실은 한국 음식이라는 걸 알릴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2등상은 한인 입양인인 브룩 지인 뉴매스터에게 돌아갔다. 지인 뉴매스터는 "한국문화를 공유하는 것을 좋아한다"며 "오늘은 마치 김장날처럼 느껴졌다. 혼자는 할 수 없지만 함께 모여서 공동체와 함께하면 우리 자신보다 더 위대한 것을 만들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한국에서 친구에게 초대받아 김장해본 적이 있다며 미국으로 돌아온 뒤에도 다른 친구들과 '김장데이'를 열어 계속해서 이를 퍼뜨리고 또 그들의 음식전통을 배워서 그 요리들을 합쳤다고 했다. 


CIA 뉴욕 캠퍼스에서 공부하는 학생 김민성씨는 3등상을 수상했다. 이날 대회에는 또 텍사스에 잘 알려진 남미음식과 한국음식의 장점을 살린 샐러드 소스로 김치요리를 만든 백인 남성 크리스토퍼 에드워드, 1회 대회 때 결선에 진출했지만 우승하지 못한 남자 친구의 아쉬움을 풀기 위해 출전한 베트남계인 응우옌 트린, 지난해 새크라멘토에서 우승자가 나온 전통을 잇겠다며 나온 찰리 부 등이 참여했다.


심사위원장을 맡은 CIA의 인증 마스터셰프 브래드 반스는 "김치는 용도가 매우 다양하다. 훌륭한 풍미가 있다"면서 "열무김치, 배추김치가 있고 또 다른 유형의 김치가 있다. 이 모든 게 다채로운 방식으로 다른 메뉴에 쓰일 수 있다"고 평가했다. 그는 다만 "많은 미국의 요리사가 김치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그래서 요리에 이를 통합해 김치가 두드러져 보이게 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지적했다.


2011년 PBS에서 방영된 김치와 한국문화에 대한 다큐멘터리 프로그램 '김치 크로니클'을 진행하는 등 '김치 전도사'로 활동하는 한국계 미국인 마자 반거리션도 이날 3명의 심사위원 중 1명으로 참석했다.


반거리션은 "김치는 과학과 건강을 바탕으로 한 음식이다. 몸을 보살피는 건강을 위한 음식"이라고 치켜세웠다. 그는 '미국에서 김치를 먹는 사람이 늘고 있느냐'는 질문에 "물론이다"라며 "몇 주 전 미시간의 외진 지역에 갔는데 아시아인, 히스패닉, 흑인이 없는 곳이었다. 그런데 슈퍼마켓에 김치가 있더라"고 전했다. 그러면서 "내가 사는 뉴욕에선 모든 사람이 다 김치를 안다"며 "전 세계가 김치뿐 아니라 녹색 문화(green culture)를 소중히 여기고 이해하는 것 같다. 진작 그랬어야 했다"고 말했다.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