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월의장 증언·우크라 사태로 변동성 클 듯


홈 > 로컬뉴스 > 로컬뉴스
로컬뉴스

파월의장 증언·우크라 사태로 변동성 클 듯

웹마스터

이번 주 뉴욕증시는 파월 연준의장의 의회증언과 우크라 사태 등으로 변동성이 큰 한주가 될 전망이다. /AP


뉴욕증시 주간전망(28일~3월4일)

고용보고서 발표, 전쟁 상황 등 주목


이번 주 뉴욕증시는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연준·Fed) 의장의 반기 의회증언과 2월 고용보고서,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전쟁상황 등 이벤트가 산적해 어느 때보다 변동성이 큰 모습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유가는 배럴당 90달러를 웃돌면서 인플레이션 우려를 부추겼고, 공급망 문제는 더욱 심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때문에 러시아의 공격 이후 첫 공식석상에서 발언하는 파월 의장에 시장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파월 의장이 상하원 의회에 출석해 지정학적 위기에도 유가급등에 따른 물가상승 우려로 공격적인 긴축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할지, 아니면 불확실성이 증가한 점을 강조하며 신중한 태도를 보일지가 관건이다. 파월의장의 의회증언은 내달 2일(하원)과 3일(상원) 있게 된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공격이 있기 전 금융시장은 연준이 3월에 금리를 50bp까지 인상할 가능성을 절반 이상으로 봤다. 또 많은 전문가들은 연준이 올해 남은 7번의 회의마다 금리를 인상할 것으로 예상했다. 그만큼 연준은 물가 억제가 시급한 상황이다.


하지만 연준의 공격적 금리인상 기대는 전쟁 발발로 20%대로 낮아졌다. 전쟁이 미칠 잠재적 영향을 좀 더 지켜봐야 한다는 신중론이 고개를 들고 있기 때문이다. 물론 제임스 불러드 세인트루이스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나 크리스토퍼 연준이사는 지정학적 위기에도 물가급등을 지적하며, 모두 3월에 50bp 금리인상 가능성을 열어두는 등 매파적(긴축 선호) 언행을 이어가고 있다.


파월 의장의 발언을 비롯해 라파엘 보스틱 애틀랜타 연은 총재, 불러드 세인트루이스 연은 총재, 찰스 에번스 시카고 연은총재, 존 윌리엄스 뉴욕 연은총재도 이번 주 발언에 나선다. 연준인사들의 발언에서 우크라이나 사태 이후 연준 내 분위기를 가늠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관건은 경제지표다. 물가는 이미 연준의 목표치를 과도하게 웃돌아 공격적인 긴축에 나설 필요성이 커진 상태였다. 고용 역시 이를 뒷받침할 수준인지를 가늠할 필요가 있다. 월스트리트저널이 집계한 전문가들의 2월 신규 비농업 고용자 수 예상치는 41만5000명이다. 전달에는 46만7000명을 기록했다. 실업률은 4%에서 3.9%로 낮아질 것으로 예상됐다.


김문호 기자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