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바다주 대법관에 첫 한국계


홈 > 로컬뉴스 > 로컬뉴스
로컬뉴스

네바다주 대법관에 첫 한국계

웹마스터

"네바다주 대법관으로 임명된 한국계 패트리샤 리 / 허치슨 앤드 스테펀 법률사무소 홈페이지 


전주태생 주한미군 딸, USC출신

새 아버지 학대, 빈곤 등 이겨내



전라북도 전주에서 주한미군 병사와 한국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난 한국계 흑인 여성이 네바다주 대법관이 됐다.


스티브 시설랙 네바다 주지사는 라스베이거스 소재 법무법인 허치슨 앤드 스테펀의 파트너 변호사인 패트리샤 리(Patricia Lee·47)를 주 대법관으로 임명했다고 21일 밝혔다. 흑인 여성이나 아시아계 미국인이 네바다주 대법관이 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리 대법관은 USC 학부에서 심리학과 커뮤니케이션학을 복수전공했으며, 이 대학의 흑인학생회에서 회장을 지냈다. 그는 이어 조지워싱턴대 법학전문대학원을 졸업하고 2002년부터 허치슨 앤드 스테펀에서 일했다.


네바다주 법관인선위원회에 제출된 대법관 후보자 답변서에 따르면 리 대법관은 한국 전라북도 전주에서 흑인 주한미군 병사와 한국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는 "아버지가 흑인이었기 때문에, 내가 태어난 것은 한국에서 못마땅한 일로 여겨졌고 '혼혈'이라며 비난을 받았다"고 답변서에 썼다.


만 4세일 때 가족이 한국을 떠나 가주 반덴버그 공군기지로 이사했으며, 그 후 아버지가 군 생활을 접고 퇴역했다. 리 대법관은 자신이 만 7세였을 때 부모가 이혼하고 알코올중독자인 아버지가 집을 떠났으며, 그 후로 자신이 어머니와 두 남동생을 데리고 힘겨운 삶을 헤쳐나가야 했다고 회고했다.


어머니는 영어를 거의 못했기 때문에 장녀인 리 대법관이 기초생활수급 서류를 작성하는 등 가장 노릇을 해야 했다. 잠에서 깨면 침대에 바퀴벌레가 기어다니는 꼴을 늘상 봤으며, 그나마도 집세를 못 내서 매년 평균 두세 차례씩 셋집에서 쫓겨나고 쉼터를 전전해야 했다.


어머니가 남성 반려자를 찾았으나, 이 남성은 리 대법관을 학대했다. 이를 견디다 못한 리 대법관은 15세 때 가출해 친구들의 집을 전전하면서 고등학교에 다녔으며, 3학년 전교 학생회장과 응원단장을 맡고 전교 최상위권 성적으로 졸업했다. 리 대법관은 자신이 어린 시절 겪은 역경을 계기로 다른 사람들을 도와주겠다는 굳은 결심을 하게 되었으며 아직도 그 결심을 잊지 않고 있다고 답변서에 썼다.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