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8일] '무디스 여파'로 은행주 하락하며 지수 약세


홈 > 로컬뉴스 > 로컬뉴스 > 경제
로컬뉴스

[뉴욕증시 8일] '무디스 여파'로 은행주 하락하며 지수 약세

웹마스터

중형은행들도 신용등급 강등 대상 

다우존스지수 158.64포인트 밀려


무디스가 일부 은행들에 대한 신용등급을 대거 내린 여파로 은행주가 하락하며 3대 지수 모두 동반 약세를 보였다.


8일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지수는 전장보다 158.64포인트(0.45%) 하락한 3만5314.49로 거래를 마쳤다. S&P500지수는 19.06포인트(0.42%) 떨어진 4499.38, 나스닥지수는 110.07포인트(0.79%) 밀린 1만3884.32로 장을 마감했다.


무디스는 이날 US뱅코프, BNY멜론은행, 스테이트 스트리트, 트루이스트 파이낸셜, 노던 트러스트, 쿨런-프로스트 뱅커스 등 6개 주요 은행을 등급 강등 검토 대상에 올렸다. 이들 은행은 앞서 등급이 강등된 은행들보다 규모가 상대적으로 큰 은행이다.


무디스는 이보다 앞서는 M&T뱅크, 웹스터 파이낸셜, BOK 파이낸셜 등 10개 중소은행에 대해서는 등급을 강등하고, 캐피털 원 파이낸셜, 시티즌스 파이낸셜, 피프스 서드 뱅코프 등 11개 은행에 대해서는 등급 전망을 '부정적'으로 내렸다.


무디스는 고금리 환경으로 예금이 고갈되고 고정금리 자산의 가치는 하락하는 등 은행들이 금리와 자산-부채 관리 위험에 직면했다고 지적했다. 또한 수익성 압박이 커지고, 상업 부동산 등 자산질이 악화할 위험이 있다고 지적했다.


스테이트스트리트와 BNY멜론은행, 노던트러스트 등 관련은행들의 주가가 1% 이상 하락했고, 골드만삭스와 뱅크오브아메리카의 주가는 2%가량 하락했다.


지난 3월 은행권 위기 이후 진정됐던 금융권에 대한 우려가 무디스의 이번 등급 강등 소식에 재부상했다. 다만 연준의 금리인상이 막바지에 다다르고 있는 데다 경기가 예상보다 견조한 모습을 보이면서 과거와 같은 패닉 장세는 연출되지 않았다. 


시장 참가자들은 연준의 추가 금리인상 여부를 가늠하기 위해 오는 10일 나오는 7월 소비자물가지수(CPI)를 기다리고 있다. 


한편, 미국의 6월 무역적자가 수입이 감소하면서 전보다 줄어들었다는 소식도 나왔다. 상무부에 따르면 6월 무역적자는 전달보다 4.1% 줄어든 655억달러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봄 수준의 역대 최고치와 비교하면 30% 이상 줄어든 수준이다.


수입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 줄어들며, 3개월 연속 하락했다. 이는 미국 내 소비지출이 상품에서 서비스로 이동한 데다 글로벌 제조업 부문의 침체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기업들의 2분기 실적 발표가 막바지인 가운데, 지금까지 나온 기업들의 실적은 대체로 예상치를 웃돌았다. 레피니티브 자료에 따르면 지금까지 450개가량의 기업이 2분기 실적을 발표했으며 이중에 79%가 예상치를 웃도는 순이익을, 63%가 예상치를 웃도는 매출을 발표했다. 2분기 순이익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8%가량 줄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당초 7% 이상 줄었을 것이라던 전망에서 크게 개선된 것이다.


파라마운트 글로벌은 조정 주당 순이익이 예상치를 웃돌고 출판 계열사 사이먼앤슈스터를 사모펀드 KKR에 매각하기로 했다는 소식에 주가는 1.6%가량 올랐다. 


대체육 가공업체 비욘드 미트의 주가는 매출이 30% 이상 줄어들며 시장의 예상치를 밑돌았다는 소식에 14% 이상 하락했다.


일라이릴리의 주가는 분기 매출과 순이익이 예상치를 웃돌고, 연간 전망치를 상향했다는 소식에 15%가량 올랐다. 배송업체 UPS의 주가는 매출이 예상치를 밑돌고 연간 전망치를 하향했다는 소식에 0.9%가량 하락했다.


증시 전문가들은 시장이 조정 국면에 접어들었다고 평가했다. 또한 시장의 경제에 대한 낙관론이 과도하다는 지적도 나왔다. 


김문호 기자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