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21일] 매파적 연준·국채금리 상승에 하락


홈 > 로컬뉴스 > 로컬뉴스 > 경제
로컬뉴스

[뉴욕증시 21일] 매파적 연준·국채금리 상승에 하락

웹마스터

나스닥지수 1.8% 내려


21일 뉴욕증시는 연방준비제도(연준)의 매파적 기조와 국채금리 상승에 하락했다. 이날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지수는 전장보다 370.46포인트(1.08%) 하락한 3만4070.42로 거래를 마쳤다. S&P500지수는  72.20포인트(1.64%) 떨어진 4330.00으로, 나스닥지수는 245.14포인트(1.82%) 밀린 1만3223.99로 장을 마감했다.


연준은 전날(20일) 기준금리를 동결하면서도 추가 인상 가능성을 열어뒀다. 연준 위원들의 금리 전망치를 담은 점도표에 따르면 연준 위원들은 올해 1회 더 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할 것으로 예상했다.


유가상승 등으로 인플레이션 압력이 커진 가운데, 연준의 이러한 전망은 금리인상이 종결될 것이라는 기대에 찬물을 끼얹었다. 여기에 내년 연말 금리 전망치가 5.1%로 올해 연말 전망치인 5.6%에서 0.5%포인트 내려가는 데 그칠 것으로 예상되면서 고금리 환경이 장기간 지속되는 데 따른 위험 회피 심리가 강화됐다.


국채금리는 연준의 금리 결정과 이날 주간 실업지표 강세 등에 추가 상승했다. 10년물 국채금리는 이날 4.48%를 돌파해 2007년 이후 최고치를 경신했다. 2년물 국채금리도 5.19%를 넘어서며 2006년 이후 최고치를 또다시 경신했다.


지난주 신규 실업보험 청구자 수는 전주보다 2만명 감소한 20만1000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8개월 만에 가장 적은 수준으로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전문가 예상치 22만5000명을 밑돌았다. 실업지표는 여전히 고용시장이 타이트하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다만, 필라델피아 연방준비은행(연은)의 9월 제조업 지수는 -13.5를 기록해 제조업 경기가 위축 국면임을 시사했다.


콘퍼런스보드의 8월 경기선행지수도 전월보다 0.4% 하락한 105.4를 기록해 17개월 연속 하락세를 보였다.


개별 종목 주가에서 페덱스는 분기 이익이 예상치를 웃돌고 연간 이익 전망치를 상향했다는 소식에 4% 이상 올랐다.전날 나스닥에 상장한 클라비요의 주가는 2% 이상 올랐다. KB홈의 주가는 실적이 예상치를 웃돌았다는 소식에도 4% 이상 하락했다. 


시스코의 주가는 사이버 보안업체 스플렁크를 인수하기로 했다는 소식에 4%가량 하락했고, 스플렁크의 주가는 20% 이상 올랐다.


김문호 기자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