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28일] 국채금리·셧다운 불안에도 상승


홈 > 로컬뉴스 > 로컬뉴스 > 경제
로컬뉴스

[뉴욕증시 28일] 국채금리·셧다운 불안에도 상승

웹마스터

나스닥지수 0.8% 올라


28일 뉴욕증시는 국채금리 불안과 연방정부의 셧다운 위험에도 소폭 상승했다. 이날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지수는 전장보다 116.07포인트(0.35%) 오른 3만3666.34로 거래를 마쳤다. S&P500지수는 25.19포인트(0.59%) 상승한 4299.70, 나스닥지수는 108.43포인트(0.83%) 뛴 1만3201.28로 장을 마감했다.


이날 반등에도 9월 들어 다우지수는 3.5% 하락했고, S&P500지수와 나스닥지수는 각각 4.8%, 5.8% 떨어졌다. 투자자들은 국채금리 상승세와 연방정부의 셧다운 위험, 경제지표 등을 주시했다.


10년물 국채금리는 고금리 환경이 장기화할 수 있다는 전망에 이날 한때 4.688%까지 올라 2007년 10월 15일 이후 최고치를 경신했다. 하지만, 이날 시행된 7년물 국채 입찰 이후 10년물 금리가 하락하면서 주가도 반등했다. 7년물 입찰에서 발행금리는 4.673%로 2009년 이후 최고치를 경신했다.


유가가 한때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기준 배럴당 95달러를 돌파했다가 차익실현에 91달러대로 떨어진 점도 인플레이션 우려를 다소 완화했다.


이날 발표된 주간 신규실업보험 청구자 수는 전주보다 증가했으나 예상보다는 약간 적었다. 노동부에 따르면 23일로 끝난 한 주간 신규실업보험 청구자 수는 전주보다 2000명 증가한 20만4000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전문가 예상치 21만4000명보다는 적은 수준이다.


올해 2분기(4~6월) 경제 성장률은 당초 발표된 잠정치와 같은 연율 2.1%로 최종 집계됐다. 이는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이코노미스트들의 예상치인 2.2%에는 소폭 못 미쳤으나 성장률은 작년 3분기부터 4개 분기 연속 2%대를 유지했다.


연방정부의 셧다운 가능성을 둘러싼 불확실성은 증시를 짓누르고 있다. 


마이크론 테크놀로지의 주가는 다음 분기에도 매출 총이익률이 마이너스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하면서 4% 이상 하락했다. AMD의 주가는 마이크로소프트의 케빈 스콧 최고기술 담당자가 AMD의 그래픽카드가 앞으로 몇 년간 점점 더 중요해질 것이라고 한 발언에 5% 가까이 올랐다.


게임스톱의 주가는 라이언 코헨이 회사의 최고경영자(CEO)를 맡기로 했다는 소식이 나온 가운데 1% 이상 하락했다. 펠로톤의 주가는 룰루레몬과 5년간의 업무 제휴를 체결했다는 소식에 5% 이상 올랐다.


증시 전문가들은 국채금리의 가파른 상승이 증시에 부담이 되고 있다며 투자자들이 이에 대한 경계를 늦추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김문호 기자 mkim@chosundaily.com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