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화폐 홍보 셀럽들 도마에…"위험성 경고했어야" 비난


홈 > 로컬뉴스 > 로컬뉴스
로컬뉴스

가상화폐 홍보 셀럽들 도마에…"위험성 경고했어야" 비난

웹마스터

맷 데이먼·르브론 등 

코인 폭락사태에 침묵


한국산 가상화폐 루나와 자매코인 테라USD(UST) 폭락사태로 세계 가상화폐 가격이 급락하고 피해자가 속출하면서 가상화폐 홍보에 앞장선 셀럽들에 대해 비판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맷 데이먼, 귀네스 펠트로, 르브론 제임스 등 할리우드와 스포츠계 수퍼스타들이 가상화폐의 위험성은 언급하지 않은 채 팬들의 투자를 유도하고서 이제는 침묵하고 있다고 뉴욕타임스가 17일 보도했다.


지난해부터 스타를 이용한 가상화폐 홍보전은 이상 수준으로 뜨겁게 달아올랐다. 이들 스타는 소셜미디어나 언론 인터뷰, 뮤직비디오 등 다양한 수단으로 가상화폐가 '힙한' 문화나 어떤 철학이 있는 것처럼 홍보했다고 NYT는 지적했다.


NFL 수퍼보울은 30초 광고단가가 700만달러에 이르는 최대의 스포츠 이벤트인데, 올해 수퍼보울은 가상화폐 광고들이 몰리면서 '크립토(가상화폐)볼'로 불릴 정도였다.


맷 데이먼은 지난해 가상화폐거래소 크립토닷컴 광고에서 가상화폐를 비행기나 우주비행의 개발로 비유하며 띄웠다. NBA 스타 조엘 엠비드는 최근 이 회사 광고에 출연했고, NLA레이커스의 르브론 제임스는 올해 이 회사 수퍼보울 광고에 나왔다.


배우 리즈 위더스푼은 지난해 12월 온라인상에서 "가상화폐가 우리 생활의 일부가 됐다"고 말했고, 귀네스 펠트로는 지난해 비트코인 경품에 자신의 이름을 빌려주기도 했다. NFL의 '전설' 톰 브레이디, 테니스 스타 오사카 나오미, 방송인 패리스 힐튼 등도 가상화폐 홍보에 동참했다.


하지만 최근 가격 폭락 속에 이들 유명인이 팬들에게 위험성에 대한 경고 없이 가상화폐 투자를 부추기는 데 일조했다는 비판이 커지고 있다고 NYT는 전했다.


스타들이 광고하는 의류나 식품 등 일반 상품과 달리 가상화폐 시장은 변동성이 크고 사기 행위도 많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들은 가격 폭락 이후 입장을 묻는 질문에 말을 아끼고 있다.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