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20일] 다우 8주 연속 하락세…90년만에 최장기 주간 하락


홈 > 로컬뉴스 > 로컬뉴스
로컬뉴스

[뉴욕증시 20일] 다우 8주 연속 하락세…90년만에 최장기 주간 하락

웹마스터

트레이더들이 20일 뉴욕증권거래소에서 업무에 열중하고 있다.   AP

나스닥은 이미 약세장 진입


20일 뉴욕증시는 경기침체 공포로 한때 약세장의 문을 두드렸다. 이날 S&P500지수는 장중 최대 2.3%까지 급락해 지난 1월 3일 전고점 대비 20%가 넘는 하락률을 잠시 기록했다. 장중가 기준으로 약세장(베어마켓)에 진입한 S&P500지수는 장 막판 하락분을 다시 만회하며 0.57포인트(0.01%) 오른 3901.36에 거래를 마쳤다. 종가기준으로는 전고점 대비 19%의 하락률로 약세장 공식 진입은 면했다. S&P500지수가 잠시나마 약세장에 들어선 것은 코로나19 사태 직후인 2020년 3월 이후 처음이다.


이날 다우존스지수는 8.77포인트(0.03%) 오른 3만1261.90, 나스닥지수는 33.88포인트(0.30%) 떨어진 1만1354.62에 각각 장을 마감했다. 나스닥은 이미 약세장에 진입한 상태다.


주간 단위로 다우지수는 2.9% 떨어져 8주 연속 하락세를 이어갔다. 마켓워치에 따르면 1932년 4월 이후 90년 만의 최장기 주간 하락이다. S&P500지수(-3.0%)와 나스닥지수(-3.8%)는 나란히 7주 연속 떨어져 '닷컴버블' 붕괴 직후인 2001년 이후 최장기 하락했다.


이날 막판 반등에도 불구하고 주요지수가 여러 부진한 기록을 세운 것은 인플레이션 장기화에 따른 경기침체 우려가 크기 때문이다. 시장에서는 연방준비제도(연준)가 물가를 잡기 위해 어쩔 수 없이 큰 폭의 금리인상을 지속할 경우 조만간 경기침체가 초래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특히 대형 유통업체 월마트와 타겟이 인플레이션을 이유로 월가 예상보다 부진한 분기실적 또는 실적 전망치를 내놓음으로써 이런 두려움을 증폭시켰다.


여기에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전쟁이 끝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중국이 '제로 코로나' 방역 정책을 고수하고 있는 것도 글로벌 경기회복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