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에 잇단 '경고음' …대형기술주 투자의견↓


홈 > 로컬뉴스 > 로컬뉴스
로컬뉴스

뉴욕증시에 잇단 '경고음' …대형기술주 투자의견↓

웹마스터

모건스탠리 "조만간 대규모 매도 촉발"


올해 들어 상승세를 보여온 뉴욕증시에 조정 가능성을 제기하는 전망이 잇따르고 있다. 애널리스트들은 최근 강세장을 이끌었던 대형 기술주에 대해서도 잇따라 투자의견을 하향 조정하고 있다.


26일 블룸버그통신 등에 따르면 올해 뉴욕증시 약세장을 전망해 월가의 대표적인 비관론자로 꼽히는 모건스탠리의 미국 주식 담당 마이클 윌슨은 이날 미국 주식이 우려의 벽에 직면해 조만간 대규모 매도를 촉발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윌슨 총괄은 보고서에서 "역풍이 순풍을 압도해 주요 방향 전환 리스크가 지금보다 높았던 적이 거의 없었다"면서 S&P500지수가 단기적으로 하락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그는 올해 S&P500지수가 3900선까지 하락한 뒤 내년에 4200선까지 회복할 것으로 전망한 바 있다.


윌슨은 올해 S&P500의 주당 순이익(EPS)이 평균 예상치 220달러보다 크게 낮은 185달러가 될 것으로 예상하는 등 실적악화를 전망했다.


또, 기록적인 수준의 국채 발행과 재정 지원 감소로 인한 유동성 악화도 악재가 될 것으로 재차 강조하면서 투자자들이 경기방어주로 눈을 돌리면서 가치주가 성장주보다 수익을 낼 것으로 내다봤다.


도이체뱅크도 지난 23일 보고서에서 S&P500지수가 3∼5%의 조정이 필요한 시점이라면서 지난 3월 의미있는 조정 이후 3개월이나 지났다고 지적했다.


이런 가운데 애널리스트들은 최근 주가 상승을 주도했던 대형 기술주들에 대해 최근 상승 폭이 확대되면서 밸류에이션(평가가치)에 대한 우려를 제기하면서 투자의견을 잇달아 하향 조정해 주목된다.


실제로 UBS는 이날 구글의 모회사인 알파벳의 투자의견을 '매수'에서 '중립'으로 하향 조정했으며, 이 영향 등으로 알파벳 주가는 3.27% 하락했다.


UBS는 "시장 컨센서스는 알파벳 매출 성장이 조만간 11%를 웃돌 것으로 보고 있지만 10%를 넘어설 것으로 보이지는 않는다"면서, 특히 알파벳 매출은 최적화까지 시간이 필요한 생성형 인공지능(AI)과도 관련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애플의 투자의견에 대한 시장 컨센서스도 2020년 11월 이후 최저 수준이고, 마이크로소프트도 2019년 중반 수준에 머물러 있다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다만 이들 대형 기술주는 AI의 성장잠재력과 함께 튼튼한 재무구조 등으로 여전히 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다고 덧붙였다.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