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태광의 행복칼럼] 진정 행복한 사람은?
월드쉐어USA 대표
인류는 늘 행복을 추구해왔다. 인류 역사의 중요하고 결정적인 사건들도 자세히 살펴보면 개인 혹은 집단의 행복을 위한 결정들이었다. 인류의 시조 아담도 ‘선악과가 너의 행복을 보장할 것이다!’라는 사탄의 꾐에 빠져서 하나님을 배반하고 불순종하는 죄를 범했다. 아담은 그 순간 자신의 눈이 밝아지면 자신이 행복한 삶이 될 줄 알고 선악과를 따 먹고 죄를 범했다. ‘문제는 누가 행복한 사람이냐?’다.
역사의 아버지 헤로도토스가 쓴 인류 최초의 역사책 “역사”에서 고대 왕과 지혜자의 관심이 행복이라는 것을 소개한다. 리디아 왕 크로이소스(Croesus)가 아테네의 지혜자인 솔론 Solon)에게 자신이 행복하다는 것을 인정받고 싶었다. 크로이소스왕은 자신의 금고를 열어 금은보화를 보여주며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사람을 누구라고 생각하느냐?’고 묻는다. 왕의 권력을 갖고 많은 전쟁에서 승리하고 많은 재물을 가진 크로이소스왕은 자신이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사람이라고 인정받고 싶었다. 오래된 행복에 대한 인간의 갈망을 설명하는 글이다.
행복은 고대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적 사유의 주제였다. 아울러 해방된 노예 철학자였던 에픽테토스(Epictetus)도 행복의 비밀을 가진 자로 왕의 부러움을 샀다. 칼럼리스트 김길호씨는 시니어 신문에서 플라톤이 주장한 행복의 다섯 가지 조건을 소개한 적이 있다. 그가 소개한 플라톤 행복의 조건 다섯 가지는 이렇다. 첫째, 먹고 살 만한 수준에서 조금 부족한 듯한 재산. 둘째, 모든 사람이 칭찬하기에 약간 부족한 용모. 셋째, 자부심은 높지만, 사람들이 절반만 알아주는 명예. 넷째, 한 사람에게 이기고 두 사람에게 질 정도의 체력. 다섯째, 청중의 절반은 손뼉을 치지 않는 연설 솜씨, 등등이다. 절제미 넘치는 세련된 행복의 조건들이다. 이미 상당한 수준의 행복의 조건이 헬라시대에 회자(膾炙)되었다.
서기 79년에 발발했던 화산으로 사라진 고대 로마의 도시 폼페이가 발굴되면서 많은 역사적 자료들이 발견되었다. 그 폼페이시 어느 빵집에 걸렸던 액자가 이목을 끌었다. 라틴어로 된 그 액자에 담긴 메시지는 “이 집에 행복이 깃들다!”였다. 고대 로마인들의 의식을 읽을 수 있는 중요한 문구다. 그들은 행복이 깃든 빵집에서 빵을 먹기를 원했던 것이다. 빵 한 조각을 먹으면서도 그들은 행복을 갈망했다.
중세철학의 두 줄기를 형성했던 스토아학파와 에피큐리안학파의 논쟁도 결국 행복론이었다. 스토아학파는 절제의 행복을 강조하는 반면에 에피큐리안은 쾌락을 적극 즐기는 행복을 주장한다. 행복에 대한 접근이 이들을 철학적 사유와 활동을 구분짓는 것이었다. 중세철학의 핵심주제도 인간의 행복이었다.
얼마 전 버지니아대학 오이시 연구팀은 ‘행복’에 관해 흥미로운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그들은 ‘행복’에 대한 사전적 정의가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추적했다. 1850년부터 현재까지 출판된 웹스터 영어사전에서 행복에 대한 의미를 살펴본 것이다. 웹스터 초기 사전에서 ‘행복’은 ‘좋은 운’이었다. 그러나 1961년 이후 행복의 사전적 정의는 ‘삶에 대해 스스로 만족하고 기쁜 상태’로 변했다. 전체적으로 볼 때, 행복 개념은 외부 조건에 따르는 ‘좋은 운’이라는 정의에서 ‘개인이 추구할 수 있는 삶의 만족스러운 상태’라는 개념으로 전환되었다. 최근 긍정 심리학자들은 행복을 ‘주관적 안녕감'(Subjective Well-being; SWB)과 삶의 만족감으로 정의한다.
그러나 성경은 행복한 사람을 구체적으로 정의한다. 시편은 행복한 사람을 명쾌하게 설명한다. “행복한 사람은 악인의 꾀를 따르지 아니하고 죄인의 삶을 본받지 아니하고 오만한 자들처럼 높은 자리를 탐하지 아니하고 하나님 말씀을 사랑하고 하나님 말씀을 항상 마음에 품고 사는 사람이다(필자주).” 진정 행복한 사람은 진리를 따라 진실과 정직과 겸손으로 사는 사람이다.